-
-
64 ㅣ D현경 시리즈
요코야마 히데오 지음, 최고은 옮김 / 검은숲 / 2013년 5월
평점 :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 우리나라가 굳이 단기를 사용하지않고 전세계적으로 통용되고있는 서기를 따르는 것에 비해, 일본은 아직도 천황의 나라임을 강요하는 듯한 독특한 연호를 고집하고 있다. 히로히토 시절의 쇼와를 거쳐 오늘날 아키히토의 헤이세이 시대를 살고있는 일본을 보노라면 새삼 가까이하기 힘든 나라임을 되새기게 한다.
이 작품의 제목 '64'는 바로 쇼와64년을 의미하는데, 서기로는 1989년이다. 왜 하필이면 쇼와64일까? 그것은 아무래도 쇼와64년이 쇼와의 마지막해이자, 헤이세이의 원년이기도 한 그들만의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있기 때문인 것 같다. 구시대를 청산하고 새로운 시대를 열어간다는...
그 오래전 '에드가 앨런 포'를 동경한 나머지 자신의 이름을 '에도가와 란포'로 바꾸어버린 작가가 있을 정도로, 일본추리소설의 역사는 깊고도 방대하다. 작가들이 많은 만큼 소재와 스타일도 다양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작품에는 어쩔 수 없이 '일본'이라는 고유한 색깔이 묻어있다는 공통점 또한 존재한다. 그 시절의 사회상을 반영하는 분위기와 과하다싶을 정도로 개개인의 심리묘사에 집착하는 서술방식 등, 한눈에 일본소설임을 느끼게하는 인장들이 포진해 있는 것이다.
물론 인명과 지명을 제외하면 일본색을 거의 느낄 수 없는 서구적 스타일의 작품들도 적지않다. 십수년전에 읽었던 신주쿠상어(상어를 뜻하는 사메さめ가 연음처리되어 일본어로는 '신주쿠자메'로 발음한다) 시리즈는 일본추리물에 대한 선입관을 단숨에 날려버릴 정도로 신선한 충격을 받았던 작품이기도 했다. 거의 헐리우드 액션스릴러 영화를 보는 듯한 플롯을 능수능란하게 구사하는 모습을 보면서, 당시 국내 추리소설들이 한없이 초라하게 느껴졌던 기억이 떠오르기도 한다.
하지만 본작 64는 그야말로 철저하게 일본적이다. 3인칭 시점을 쓰고있지만 사실상 1인칭이라 봐도 무방할 정도로 오직 주인공 미카미 형사의 시점에서만 이야기가 진행된다. 의식의 흐름 기법이라 했던가... 주인공의 모든 행동과 자질구레한 생각 하나하나까지 징그러우리만큼 세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독자의 상상에 맡겨도 될 부분도 일일이 언급하고 또 반복까지 하는 모습에 중간중간 질리기도 했지만, 덕분에 필요이상으로 분량이 많아진 듯 하기도 했지만, 이 작품은 지루함을 넘어설 정도로 잘 읽힌다. 그만큼 작가의 필력과 뚝심이 남다르다는 반증이리라...
미카미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고뇌하다 모든 것을 내려놓고 기자들과 진심으로 교감을 이루는 후반부의 극적인 클라이막스는 이 작품이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지 단적으로 보여준다. 추리소설이라는 탈을 쓰고는 있지만, 결국 용서와 화합, 그리고 더불어 살아가는 인간관계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하게 만드는 휴먼드라마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