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의 해석
제드 러벤펠드 지음, 박현주 옮김 / 비채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다빈치코드'의 상상을 초월하는 성공 이후, 이른바 '팩션(Faction)'이라는 장르가 전세계적인 붐을 일으키며 수많은 아류작들이 그야말로 봇물처럼 쏟아져 나왔다. 신윤복을 소재로 한 '바람의 화원'의 성공 등 우리나라 역시 예외는 아니다. 하지만 이렇게 시류에 편승한 아류작들은 언제나 그러하듯 신중하게 옥석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의 제목이 굳이 '살인의 해석(The Interpretation of Murder)'인 이유는 바로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위대한 저서 '꿈의 해석(The Interpretation of Dreams)'에 대한 오마쥬라 보면 되겠다. 물론 프로이트는 오스트리아 태생인만큼 원제목은 독일어로 된 'Die Traumdeutung'이다.

프로이트와 융을 소재로 삼았다는 것은 작가가 이 방면에 대한 자신감과 함께 자료조사를 얼마나 철저히 했을지 미루어 짐작케 했다. 우려와는 달리, 당시 시대상에 대한 실감나는 묘사와 등장인물들의 품격있는 대화체는 작가의 내공이 결코 예사롭지 않음을 증명한다. 이런 장르에선 쉽게 볼 수 없는 수준높은 대화들은 이 책이 선사하는 가장 큰 즐거움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 책의 장점은 거기까지다. 작가는 프로이트를 전면에 내세우고는 있지만, 실질적으로 얘기하고자 하는 분야는 바로 '셰익스피어'이며, 특히 '햄릿'에 대한 고찰을 심도있게 다루고 싶어한다. 그가 오랫동안 관심을 가지고 연구했을 프로이트와 융, 그리고 셰익스피어를 한데 묶긴 했는데, 이것이 소설이라는 매개로 그리 잘 융화되지는 못한 느낌이다.

마치 셜록 홈즈와 왓슨의 관계를 연상케 하지만, 사실상 홈즈 역의 프로이트는 별 역할이 없다. 융의 수상한 행보도 궁금증만 유발한 채 흐지부지 덮어버리고, 사건의 핵심인 살인사건과 범인 역시 따지고보면 별다른 의미를 찾기 힘들다. 중심을 잡아주는 주제가 없으니 후반부에는 도대체 무슨 내용을 읽고 있는지 알 수 없어 혼란스럽기만 하다.
 
햄릿에 관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적인 해석을 살인사건과 연관시켜 흥미로운 이야기로 엮어내려한 저자의 의도는 충분히 알겠으나, 기대에 비해 그리 성공적인 결과물은 아닌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