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싫어서]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한국이 싫어서 오늘의 젊은 작가 7
장강명 지음 / 민음사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이 싫어서>를 읽고 조금 울었다는 지인의 말에, 아아 그런 것이구나, 했습니다. 이 생이, 이놈의 삶이 이토록 나를 괴롭히고 어렵게 만드는 것은 이 나라 때문이다, 라는 생각을 종종 나누곤 했으니까요. 어쩜 매일 같이 이런 후진 뉴스들이 나오는지, 어쩜 이렇게 창의적인 불합리가 판을 치는 곳인지, 얼마나 이 나라가 분노와 경쟁을 동력 삼아 굴러가는 나라인지. 우리는 매일 투덜거리고 '계나처럼' 한국을 떠나야 한다고 말(만)하고 지냈습니다. 상황은 점점 더 나빠지는 것 같았습니다. 생존의 문제를 진지하게 고민하는 사람들도 많았으니까요. 이 이야기를 들은 또 다른 지인은 당신들이 너무 열심히 살려고 하기 때문이라고 말하더군요. 투덜이에게 내재된 사회 진보와 개선에 대한 욕망, 으로 분석한 것일까요. 새로운 접근이긴 했죠.  

 

문득 나라를 탓하기가 얼마나 쉬운 일인지 깨닫습니다. 그저 안전한 감옥의 수인이 되어 계절에 맞는 가장 싱싱한 과일을 먹을 수 있다는 것으로 행복할 수 있는 존재로 사는 것이 어떤 일인지 생각합니다. 혹은 사회 안에서의 나, 그러니까 이 나라에 사는 구성원으로서의 자아가 택할 수 있는 가장 발전적인 선택은 무엇인지 궁금해집니다. 계나처럼 '한국이 싫어' 이 나라를 떠나는 것이 정답일까요.

 

사실 <한국이 싫어서>는 그대로 읽을 수 없는 소설이죠. 드러난 이야기 자체가 우리 상황에 발 붙이고 있지만 뿌리를 쫓아가면 '한국'이라는 상징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니까요. 이 소설은 그야말로 대단히 상징적인 설정으로 우리가 떠나온 것과 떠나야 할 것들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민주주의를 위시한 소수 권력 계층의 지배, 자본의 횡포, 소시민으로서 할 수 있는 것이라곤 노예냐 감독 노예냐 하는 것 정도라는 불편한 사실, 아직도 그 안에서 개인의 재능을 사회가 인정해주는 날을 꿈꾸는 낭만과 정신승리가 모두 읽히는 것은 저뿐만 아닐 겁니다.

 

그것이 또 대단히 쉬운 언어로 읽히기 때문에 '가볍다'는 평도 있을 수 있겠지만요. 저는 그것만으로는 반쪽짜리 독서가 될 가능성에 무게를 둡니다. 오히려 가볍게 읽을 수 있지만 읽고 난 후 찾아오는 답답함이 이 소설의 내공이라 생각하고 있거든요.

 

답답할 수 있는 중요한 이유는 이런 문장이 주는 어떤 성찰 때문일 겁니다.

 

높은 데서 떨어지는 사람은 낙하산 하나가 안 펴지면 예비 낙하산을 펴면 되지만, 낮은 데서 떨어지는 사람한테는 그럴 시간도 없어. 낙하산 하나가 안 펴지면 그걸로 끝이야. 그러니까 낮은 데서 사는 사람은 더 바닥으로 떨어지는 걸 조심해야 해. 낮은 데서 추락하는 게 더 위험해. (125쪽)

 

그래서 저 역시 울컥하고, 끝나지 않은, 어쩌면 이제 시작일 계나의 이야기를 궁금해하며 무거운 마음으로 책을 덮었습니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