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없는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송필환 옮김 / 해냄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인간의 실존은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무엇으로부터 자신이 살아 있음을 느낄까?
 호흡하고 있다는 가장 원초적 사실로부터?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그들이 자신을 기억하고 있다는 것으로부터? 아직 사망일이 찍히지 않은 서류로부터? 그것들보다 자신의 실존에 알게 모르게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은 이름의 유무일 것이다. 이름을 함부로 부르면 대단한 모욕으로 여기듯 이름이라는 것은 한 사람의 가치이며, 인격 등으로 대변된다. 그리고 이름은 실체이다. 그렇기에 이름이 없다는 것, 이름이 남겨지지 않았다는 것은 자신의 존재를 잃는 것과 같다.

 '이름 없는 자들의 도시'라는 제목을 통해 유추할 수 있듯이 이 책의 등장 인물들 중 주제씨를 제외하고 그 누구도 제대로 호명되지 않는다. 단지 소장, 할머니, 여인 등 최소한의 지칭어만 등장한다.

 내용은 이렇다. 주제씨는 유명인들의 자료를 모으며 살아간다. 그러던 어느날 자신이 근무하는 중앙등기소에서 우연히 한 여인의 기록을 얻게 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느닷없이 찾아든 기록, 한 여인에 홀린 주제씨는 그 여인의 행적을 이유도 모른채 쫓는다. 그 과정에서 몇 가지 중요한 장면이 나온다. 중앙등기소에서 직원들을 모아놓고 앞으로 전통을 깨고, 산 자와 죽은 자의 서류 구분을 없애겠다는 소장의 말이 그것이다. 거기에 무덤에서 만난 양치기와의 죽은 자의 이름에 대한 이야기가 거든다. 그 이야기들은 우리에게 이름에 대해 그리고 삶과 죽음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리는 이름을 매우 중요시 한다. 나와 동일시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름이란 중요한 것인 동시에 꼭 그렇지만은 않다. 이름이 없다고 자신의 존재를 잃게 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자신을, 타인을 인식하는 것이 곧 실재이다. 단지 이름은 한 사람을 보다 더 쉽고, 빠르게 기억하는 도구에 불과하다. 이름이 실재인 것은 아니다.

 주제씨가 쫓던 여인은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그럼에도 소장은 그녀를 서류상 존재하는 이로 돌려 놓으라고 지시한다. 그것은 인식과 실재의 벌어진 간격을 좁히려는 의도이다.

 인식과 실재.
 앞서 말했듯이 이름은 단지 실체의 인식을 위한 도구이다. 이름이 없어도 그 실체는 우리의 인식을 통해 우리 안에 존재하게 되고, 실재하지 않아도 그 인식을 통해 우리 안에 존재하게 된다. 곧 이름은 아무 것도 아니고, 우리의 인식이 중요한 것이다. 실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고, 우리의 인식이 중요한 것이다.

 이 책에서 가장 아쉬운 부분은 내용이 아니라, 편집이었다. 단락 구분이 거의 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화도 다른 줄로 구분되어 있지 않고 문장 속에 하나로 뭍혀 있다. 원작이 그러해서 같게한 것인지, 그것이 작품을 살리는 묘미이거나 작가의 의도된 바인지 모르나 독자로서는 읽는데 상당히 불편하다는 사실에 더 배려룰 해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