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루지 - 생각의 역사를 뒤집는 기막힌 발견
개리 마커스 지음, 최호영 옮김 / 갤리온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10여 년 전에 절판되었다가 얼마 전 재출간되었다. ‘라이프해커 자청’이라는 유튜버가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이 책을 추천한 뒤에 벌어진 일이다. 재출간되자마자 판매량이 치솟았다. 정말 놀랄만한 일이다.

어떤 책이기에 그런 놀라운 일이 벌어졌을까? 책 자체의 힘이라기보다 전적으로 ‘자청’의 추천 덕분이다. 그의 채널 구독자는 현재 71,105명(8월 12일 AM 06:35 기준)이다. 한 달 만에 6만 명의 구독자를 기록했다. 엄청난 수치다.

‘자청’은 질 좋은 콘텐츠로 자신의 채널을 채워나가고 있다(하지만 자신의 선의에 대한 사람들의 의심과 악플들로 더 이상 유튜브를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단지 콘텐츠 내용이 좋았기 때문에 그의 채널 구독자가 수직상승한 건 아니다. ‘연봉 10억’이라는 사람들의 관심을 끌 만한 콘셉트로, 그러한 연봉을 벌게 해준 노하우 공개로 구독자가 치솟은 것이다.

아무튼 자청 덕분에 『클루지』는 차트를 역주행했다. 10년 전 절판의 설움을 이기고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이 책의 제목인 클루지란 “어떤 문제에 대한 서툴거나 세련되지 않은 (그러나 놀랄만큼 효과적인) 해결책을 뜻한다.” 가령 집 열쇠를 어디에 두었는지 잊어버리고 집안 곳곳을 뒤지는 것이다.

이 책은 진화심리학적으로 인간의 다양한 심리적 특성을 다룬다. 기억, 신념, 선택, 언어 등 인간의 불완전한 심리상태를 클루지로 설명한다. 그 심리상태를 설명하는데 중요한 개념이 있다. ‘진화의 관성’과 ‘반사 체계’ 그리고 ‘숙고 체계’이다. ‘진화의 관성’이란 정지된 물체는 영원히 정지한 채로 있으려 한다는 뉴턴의 ‘관성의 법칙’처럼 맨 처음부터 진화가 시작되기보다 이미 있는 것에 수정을 가하며 진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진화의 관성’으로 인해 인간의 마음은 불완전한 클루지 상태에 빠지는 것이다. 클루지는 오래전 환경에서 진화되어 자동으로 작동하는 ‘반사 체계’와 최근에 진화하여 합리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숙고 체계’의 간격 사이에서 발생한다.

이 책의 내용은 꽤 흥미롭다. 결정 장애와 실수, 행복을 추구하는 이유 등 인간의 여러 마음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불완전한 상태를 ‘진화의 관성’을 바탕으로 한 클루지로 설명하는 게 무척 신선하다. 개인적으로는 ‘진화의 관성’으로 인해 인간이 클루지스러움에 빠진다는 주장에는 동의할 수 없다. 대신 에필로그에서 제시한 클루지를 이겨내는 13가지 제안은 취할 만 했다. 비록 13가지 해결책은 여느 자기개발서에 나올 법한, 전혀 색다른 거 없는 내용이지만, 본문에서 다룬 클루지에 대한 설명으로 빛을 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