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쟁과 평화의 역사, 최대한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ㅣ 누구나 교양 시리즈 3
게르하르트 슈타군 지음, 장혜경 옮김 / 이화북스 / 2019년 2월
평점 :
인간의 역사는 전쟁의 역사라고 말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인간의 역사는 전쟁과 함께 시작했고, 전쟁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만큼 인간의 역사에서 전쟁은 끊이지 않았다. 전쟁을 빼놓고 인간의 역사를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전쟁은 역사 곳곳에 산재해 있다. 인간은 왜 그렇게 전쟁을 끊임없이 벌이는 걸까? 전쟁을 하지 않고, 평화롭게 지내면 안 되는 걸까? 이러한 의문은 누구나 할 것이다. 전쟁은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기 때문에.
『전쟁과 평화의 역사』
이 책은 “왜 전쟁을 하는가?”라는 의문으로 시작되고, 이 의문이 이 책을 관통한다. 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먼저 동물과 인간의 차이점을 살핀다. 동물도 인간처럼 다른 동물을 죽이기는 한다. 하지만 인간과는 목적이 다르다. 배고픔을 해결하기 위해, 배고플 때만 다른 동물을 죽인다. 정확하게는 잡아 먹는다. 반면 인간은 배고픔을 해결하기 위해 다른 사람을 죽이는 게 아니다. 인간은 영토 확장이나 종교 등의 이유로 전쟁을 벌여 다른 사람을 죽인다.
이러한 내용을 필두로 놀이로서의 전쟁, 종교 전쟁, 그리고 인류 역사에서 벌어진 주요 전쟁의 참혹한 양상, 전쟁에 어떻게 이성과 과학이 도입되었는지 등 다방면에서 전쟁의 원인과 양상을 살핀다. 인간은 쉬지 않고 전쟁을 벌인다. 왜 우리는 평화롭게 살지 못할까? 우리는 평화를 원하지 않는 걸까? 이 책은 이 물음에 밝은 답을 제시하지 않는다. 전망이 좋지 않다고 답을 한다. 왜냐하면 군대를 폐지한다고 해서 평화가 유지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저자는 아이러니 하게도 군대 없이 평화를 유지할 수 없다고 말한다.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최소한의 폭력적 수단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정말 모순적인 말이지만, 틀림없는 사실이다. 각 국가는 전쟁을 벌이기 위해 군대를 만든 게 아니다. 전쟁을 막기 위해, 평화를 지키기 위해 군대를 만든다. 다만 지도자의 잘못된 판단이 그 군대를 이용하게 전쟁을 벌이는 것이다.
저자는 평화가 유지되려면 “평화를 사랑하는 국민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사람들이 전쟁을 원치 않는다면 자연히 전쟁도 사라질 것”이라고 말한다. 우리가 국가의 일에 관심을 갖지 않는다면, 국가 간에 전쟁은 벌어질 수밖에 없다는 말이다. 결국 전쟁이 벌어지는 이유는 우리의 무관심 때문이라고 할 수도 있다. 왕정 시대에는 어쩔 수 없었지만, 현대 사회에서 국가 운영을 지도자에게만 맡기면, 언제든 히틀러 같은 지도자가 탄생하여 또 다시 최악의 전쟁이 벌어질 수도 있다. 그것을 막는 방법, 평화를 유지하는 방법은 결국 국민이 국가의 일을 지도자에게만 맡기지 않고 국정 운영에 대한 지속적인 간섭과 관심을 유지해야 한다.
모든 사람이 일시에 지구에서 사라지지 않는 이상 앞으로도 전쟁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인간은 자신의 탐욕과 안전을 위해 계속 전쟁을 벌일 것이다. 그렇게 본다면 우리는 결코 평화를 얻지 못할지도 모른다. 아니 우리나라가 세계 유일의 분단 국가인 것처럼 평화는 아주 잠깐밖에는 얻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지 않기 위해 우리는 계속 평화를 갈망해야 한다. 우리가 전쟁을 원하지 않는다면, 모순적이지만 평화를 지키기 위해 군대를 정비하고, 지도자의 국정 운영을 잘 감시해야 한다. 그러면 전 세계 모든 전쟁을 막을 수는 없겠지만, 최소한 인접국가와는 전쟁을 막을 수도 있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