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밀실살인게임 - 왕수비차잡기 ㅣ 밀실살인게임 1
우타노 쇼고 지음, 김은모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우타노 쇼고의 신작(번역서)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우타노 쇼고의 작품을 좋아하는 나로서는 쌍수를 들고 대환영이다. 묘하게도 아직 데뷔작만 못읽은 상태지만... 이번엔 제목부터 밀실살인게임. 추리소설에서 자주 쓰이는 밀실 트릭에 대한 이야기일까? 그런데 그 뒤에 붙은 말이 묘하게 신경쓰인다. 게임이라.
밀실살인게임 - 왕수비차잡기는<두광인> <044APD> <aXe> <잔갸군> <반도젠교수>이라는 괴상한 닉네임을 가진 사람들이 인터넷 모임을 통해 살인 사건 추리게임을 진행하는 모임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러나 이들의 게임은 머릿속에서 만들어진 살인 사건을 추리하는 것이 아니다. 출제자 순번이 된 사람은 직접 살인 사건을 일으키고 그 사건의 진상을 다른 사람이 추리하도록 한다. 즉, 범인은 밝혀진 상태이지만, 어떤 트릭을 이용해서 그 사건을 일으켰는지를 맞추는 것이 이들 모임의 목적인 것이다. 아, 그래서 제목에 게임이란 단어가 들어갔구나. 그제서야 납득이 되었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소름이 끼쳤다. 아무렇지도 않게 사람을 죽이고 그 사람을 어떻게 죽였는지 트릭을 맞추는 것, 그것을 게임으로 즐긴다는 것은 보통 사람으로서는 감히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 책에는 총 6개의 퀴즈가 출제된다. 물론 이들의 모임은 책과 동시에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오래전에 시작되었다. 그래서 여기에 등장하는 모든 사람들은 한 번 이상 사람을 살해했다. 첫번째 퀴즈는 <aXe>의 미싱링크, 즉 피해자들의 연관성을 추리하여 다음 피해자가 어떤 사람이 될 것인지를 맞추는 게임이다. 거의 반년동안 이 게임이 진행되는데, 피해자의 수는 무려 10여명에 달한다. 게다가 출제자인 <aXe>는 거의 30여명의 목록을 이미 만들어 놨다고 한다. 맞추지 못하면 사람이 죽는다. 하지만, 이들에게 피해자가 몇 명 죽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피해자 선정 방법일 뿐.
"탐정은 범인에게 머리를 숙이지 않아. 백 명이 살해당하더라도." (91p)
이는 <044APD>의 말이다. 이들에게는 사람들의 목숨이 가치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섬뜩한 말이 아닐 수 없다. 결국 수많은 희생자가 나오고서야 그 해답이 밝혀지는데... 사실 이런 범죄의 경우 경찰이나 일반인이 보기에는 무차별범죄와도 같고, 피해자간의 연관관계도 밝히기 힘들다. 즉, 연쇄살인이지만 불연쇄살인이 되는 것이었다.
두번째 퀴즈는 <반도젠 교수>가 출제한 가상게임으로 알리바이 깨기, 세번째는 <잔갸>(늑대거북)의 머리 잘린 시체의 트릭이다. 잔갸는 이 퀴즈를 내기위해 연습 살인을 두 건 저지른 후 이번 살인을 저질렀다고 하는데, 밀실 살인의 트릭 + 시체 운반 방법 트릭, 두 가지를 맞춰야 한다.
우리가 하는 건 범죄 수사가 아니야. 추리게임, 추리 퍼즐이라고. 직소 퍼즐은 조각이 하나라도 남아 있으면 완성품으로 인정받을 수 없어. 그렇지? 마찬가지로 출제자가 흩어놓은 단서를 남김 없이 회수해서 밑판에 빈틈없이 채워 넣어 한 장의 그림으로 완성해야지. 미스터리 소설에 빗대어 말하자면 깔아놓은 복선은 모두 회수하라는 소리야. (201p)
잔갸가 출제한 문제의 정답은 무엇일까. 나 역시 열심히 추리를 했다. 어쩌면 난 추리 소설을 읽음으로써 추리 게임에 참가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에 쓴웃음이 조금 나오긴 하지만, 이게 추리 소설을 읽는 묘미이니까. 하지만 이번에는 다른 추리 소설의 트릭을 생각하는 것과 미묘하게 다른 점이 많이 느껴졌달까. 네번째는 반도젠 교수의 문제. 이번에도 역시 알리바이 깨기이다. 베트남에 있던 사람이 일본에 있는 사람을 죽일 수 있었던 트릭은?
다섯번째는 <044APD>, 일명 콜롬보가 출제한 문제이다. 3중밀실을 돌파할 수 있었던 트릭은 무엇일까. 다른 사건도 악의가 흘러 넘쳤지만, 이건 악의에다가 뭐랄까 광기와 집착이 겹쳐졌달까.
특히 눈을 뜬 가족이 옆에 있는 시체에 놀라 혼란에 빠지는 일련의 흐름은 좀처럼 볼 수 없는 맛깔스런 장면이다. (359p)
마지막 퀴즈는 <두광인>, 일명 다스베이더이다. 두광인은 이 소설의 화자이기도 한데, 두광인의 정체가 이 소설의 서술트릭의 정점을 찍는다. 난 책을 읽으면서 콜롬보가 누구일지는 딱 떠올랐는데, 다스베이더에서 깜짝 놀랐다고 할까. 게다가 내가 보기엔 이중에서 가장 머리가 좋지만 가장 악의가 넘치는 캐릭터이기도 하다. 특히 마지막 모임에서 다스베이더가 제안한 것은 왕수비차잡기를 노리는 것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슬슬 이 모임이 지겨워졌다고 하니까. 일단은 속편이 나와 봐야 전체 흐름을 파악하겠지만, 마지막 모임의 성격은 일단은 정리한다는 느낌이었달까. 만약 내 생각이 맞는다면 두광인은 정말 말 그대로 광인일 것이다.
신분과 나이, 성별을 감추고 인터넷상에서 진행되는 게임은 말 그대로 밀실살인게임이다. 자신만의 공간에 있으니까. 살인을 게임으로 생각하는 이들, 이들은 게임을 현실이라 헷갈려하는 부류와는 다르다. 자신들의 게임을 현실로 만드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과연 이들은 다음편에서 우리에게 어떤 이야기를 해줄까. 생각만 해도 모골이 송연해진다.
덧>
王手飛車取り(오우테히샤도리)는 일본 장기 용어라고 한다. 왕수비차잡기라는 우리말로는 도저히 이해가 안되어 출판사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니 이렇게 설명이 되어 있다. '왕수'란 왕을 잡을 수 있는 위치에 말을 가져다 놓는 것으로 일명 '장군'이다. 비차 잡기는 말 그대로 비차를 잡는 것. 즉 '장군'을 외치면서 비차를 잡을 수 있는 수가 바로 왕수비차잡기라고 한다.
뭐랄까, 일본 장기는 커녕 우리나라 장기 두는 법도 모르는 내게 좀 어려운 용어이다. 한 번에 두마리 토끼 잡기 정도로 보면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