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스릴러문학 단편선 Miracle 1
강지영 외 지음, 김봉석 엮음 / 시작 / 2008년 6월
평점 :
품절


스릴러란 장르는 내가 아주 좋아하는 장르중의 하나다. 하지만 한국은 아직 장르 소설 시장쪽의 기반이 약하달까, 그래서 이런 장르를 좋아함에도 불구하고 주로 난 일본 장르소설이나 영미 장르소설쪽을 많이 읽어 왔다.

사실 이 책은 기대반 의심반으로 구매한 책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예전에 읽었던 한국 공포 문학같은 경우, 몇몇 작품을 제외하고는 내 기대에 훨씬 못미쳤기 때문이다. 물론 작가층이 얇고, 장르 소설이란 것이 음지에서 양지로 발을 들여 놓았다는 것만을 생각하면 그래도 괜찮다고 할 수 있지만, 내 취향에 딱이라고는 말을 할 수 없었다. 그러나 모든 것은 각 과정을 거쳐야 제대로 자리를 잡는 법. 한국 장르 소설에 거는 기대와 관심이 많아질수록 장르 소설이 발전하는 것임에는 분명하다고 할 수 있다.

첫번째 작품인 인간실격. 이 작품은 문득 다자이 오사무의 동명 소설이 생각났다. 다자이 오사무의 작품중 굉장히 유명한 작품이 바로 인간실격인데, 장르도 사소설이며 순문학이니 그에 대해서는 일단은 잊어버리시길... (→ 누구에게 하는 말인지.... 거참)

인간실격은 가족을 잃은 남자의 복수극이다. 그러나 그가 복수하려고 마음먹은 대상은 인간의 탈을 뒤집어쓰고 있지만 인간은 아닌 존재들이다. 왠지 클라이브 바커의 미드나잇 미트트레인에 나오는 그런 존재들같다고나 할까. 조금 다른 점은 미드나잇 미트트레인에 나오는 '그것'들은 세상과 단절된 곳에 살고, 인간실격에 나오는 '그것'들은 인간사회 속에 섞여서 살아간다는 점이 다르지만... 

사회적 문제이기도 한 실종 사건을 소재로 한 인간실격은 폭력적인 장면이 많기는 했지만, 눈살이 찌푸려질 정도는 아니었다. 만약 이 단편의 주인공이 가족을 잃지 않았다면 그는 과연 그들에 대해 복수를 하려 마음먹었을까? 자신과 관련된 존재가 아니면 신경쓰지도 않는 사회에 대한 비판도 엿볼 수 있어 무척 흥미로웠던 작품. 판타지 성향의 호러물이랄까? 

나의 왼손과 피해의 방정식은 비슷한 구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 현상이 나타나는 원인이 좀 다를뿐이다. 나의 왼손의 경우, 간질 발작이란 병적인 문제로 인해 변한 주인공을 보여주고 있고, 피해의 방정식은 80년 광주 민주화 운동이란 역사의 아픈 그늘로 인해 생겨난 피해자의 모습이 변해가는 보여준다. 사실 광주 민주화 운동이란 소재를 스릴러라는 장르와 결부시키기에는 작가의 부담이 컸을 것으로 보이지만, 일단은 무리없이 소화해 낸 것으로 보인다. 물론 광주 민주화 운동의 아픈 역사를 그냥 수박 겉핥기로 훑고 지나간 것처럼은 보이지만. 이 역사적 사건 자체가 주제가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정도로 넘어 가자. 

두 작품 모두 약간이 반전이란 것은 있었지만, 임팩트를 줄 정도는 아니었고,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는 것이긴 했지만, 시도 자체는 매우 좋았다고 생각한다. 특히 신체의 일부인 손이 독립성을 가진다는 설정은 무척이나 신선했다.

질주와 사냥꾼은 밤에 눈뜬다의 경우 왠지 애니메이션이나 외국 스플래터 무비를 보는 듯한 느낌을 주었다. 두 작품 모두 인간 사냥이란 비윤리적 소재를 가지고 있는데, 그것을 게임정도로 여기는 사람들의 등장이 가장 욕지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 중의 하나다. 하지만 질주의 경우, 결말이 너무 싱겁게 났다는 것이 옥의 티이다. 열심히 도망쳤는데, 그게 끝이 아니었다니.... 왠지 씁쓸함마저 느껴졌다. 사냥꾼은 밤에 눈뜬다의 경우 호스텔이란 영화를 떠올리게 했다. 호스텔은 사람들을 납치해서 갖가지 방법으로 죽이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 이 작품 역시 인간 사냥이란 점에서 매우 흡사하다. 특히나 초롱아귀역을 맡은 미스박의 경우, 호스텔 2에 등장하는 한 여성을 떠올리게 했다. 사냥감을 물어다 주는 존재랄까. 게다가 배경이 우리나라임에도 불구하고 서양식 저택에서 일어나는 인간사냥을 다룬다는 것도 좀 어색했다.   

주말 여행은 굵고 짧았다라는 느낌을 주는 단편이었다. 부부사이의 극단적인 싸움, 그리고 살인. 어떻게 보면 그정도로 사람을 죽일 마음이 들까 싶기는 하지만, 뭐 사람이 사람을 죽이는데 큰 이유가 필요하지만은 않은 법이니까.

액귀의 경우, 중국 귀신 이야기를 소재로 끌어쓰고 있는데, 꽤나 으스스했다. 스스로 목을 매달아 죽은 원혼들의 세상에 대한 원망이 그런 식으로 나타나다니... 안그래도 요즘은 목을 매서 자살하는 사람들이 많은 만큼 이 이야기가 쉬이 넘겨지지는 않는다.

마지막 단편인 세상에 쉬운 돈벌이는 없다는 사회적 문제가 되는 스토킹과 스토커에 대한 것을 소재로 하고 있다. 제일 가볍고 때로는 유머스럽기도 한 이 단편은 가장 잔인성이 덜하다고도 할 수 있다. 하지만 스토킹이란 게 당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너무나도 고통스러운 것이란 것을 감안한다면, 내가 스토킹 대상이 아니란 게 감사할 따름이다.

이 단편집의 재미있는 점은 등장 인물들의 최후가 대부분 비참하게 끝났다는 것이다. 보통 호러 장르같은 경우나 미스터리 장르같은 경우 누군가 하나는 끈질기게 살아 남지만, 여기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대부분 죽거나 죽음을 암시하는 결말을 내고 있다. 이것도 나름의 반전인가?(笑)

이 책은 몇 작품을 제외하고는 꽤 마음에 들었다. 일부 작품의 경우 서양의 스플래터 무비의 설정을 따온듯한 느낌이 든다거나, 결말이 뻔히 보인다거나, 작가가 어떤 반전을 준비해 놓았는가가 빤히 보이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작품의 경우 좋은 시도라고 생각한다. 한국 장르 소설 시장의 무궁한 발전을 위하여, 화이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