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과학다반사 - 세상 읽는 눈이 유쾌해지는 생활밀착형 과학에세이
심혜진 지음 / 홍익 / 2019년 12월
평점 :
품절


<일상, 과학다반사>는 과학의 세계가 낯설다고 느끼는 사람들을 위한 책입니다.

이 책을 읽다보면 우리가 학교에서 배운 과학은 극히 일부였다는 생각이 듭니다. 좀더 과학에 대한 관심을 가졌더라면 지금과는 다른 세상이 보였을 텐데.

근래 일반 대중들을 위해 쉽게 알려주는 과학책들이 읽으면서 과학의 재미를 알아가고 있습니다.

과학에서 가장 중요한 건 추론과 논증이라고 합니다. 그 과정을 이해하면 세상을 읽는 눈도 밝아지고 소소하게 벌어지는 사건들을 해석하고 판단하는 능력도 기를 수 있습니다. 책에서 소개하는 과학 지식은 우리의 일상, 몸, 지구 환경 등 다양한 소재를 담고 있습니다. 단순히 과학 지식을 알려주는 방식이 아니라 일상적인 에피소드를 통해 과학적 사고를 해보는 방식입니다. 왜 그럴까, 과학적 근거는 뭘까... 저자가 이 책을 쓰게 된 것도 사람들과 일상적인 과학 이야기를 나누고 싶었기 때문이랍니다.

과학을 전공하지는 않았지만 과학에 관심이 많고 일상에서 과학 원리를 발견하는 소소한 기쁨을 즐기는 저자와 함께 신나게 수다를 떨어 볼까요? 


콜록콜록,,, 몇 주째 감기로 고생 중입니다. 에이~취, 갑자기 터지는 재채기까지 참으로 시끄러운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저자는 재채기와 관련해 특이한 습관이 있는데, 재채기가 나올랑 말랑 할 때 형광등이나 햇빛을 바라본다고 합니다. 앗, 나도 그런데... 희한하게 빛을 보면 재채기가 잘 나와서 이게 당연한 줄 알았는데 모든 사람이 다 그런 건 아니랍니다. 코가 간질거릴 때마다 빛을 바라본 건 신경 전달의 오류로 눈에 빛이 들어온 것을 그만 코에 이물질이 들어왔다고 뇌에 신호를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실내에 있다가 갑자기 햇볕을 쬐면 바로 재치기가 나오는 것을 '광반사 재채기'라고 하는데, 네 명 중 한 명이 유전적으로 이렇게 타고난다고 합니다. 아하, 저도 '광반사 재채기'를 타고났던 거였네요. 

우리 몸은 1000억 개 정도의 뇌세포를 가지고 태어나는데 죽을 때까지 단 한 개도 늘어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오히려 매시간 500개 정도 죽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대신 세포를 구성하는 성분이 약 한 달 만에 완전히 새로운 것으로 바뀌기 때문에 죽은 뇌세포 때문에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우리가 가만히 누워만 있어도 배가 고픈 이유는 우리가 먹은 음식물을 세포들이 에너지로 변환시켜 스스로 움직이는데에 사용해버리기 때문입니다. 쓸 만큼 쓴 세포는 스스로 알아서 죽는데, 죽어야 할 세포가 오히려 분열해 개수를 늘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암세포라고 합니다. 암세포는 우리 몸에서 세포 분열이 일어나는 한 피할 수 없는 것입니다. 암세포가 만들어져도 대부분 이를 억제하는 작용이 우리 몸에서 일어난다고 합니다. 건강한 삶이란 건강한 세포를 만들고 이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저자는 코바늘뜨기를 하다가 문득 세포가 떠올라서, 세포 분열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또한 한 코 한 코 정성을 들여 만드는 과정이 마치 자신의 소중한 하루하루 같았다고 표현합니다. 멋진 비유입니다. 일상의 소소함이 얼마나 소중한지, 저 역시 절절히 느끼는 중입니다.

일상다반사, 그 속에 과학을 더하니 일상의 이야기가 더 유쾌하고 재미있습니다. 기운 빠지는 이야기보다는 과학으로 즐거운 수다 한 판이 삶의 활력이 될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