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에 걸쳐 한 회사 사람 7명과 인터뷰를 했다.
팬더믹 기간이 아니었다면, 방문해서 1박2일정도에 걸쳐 할 인터뷰를 각자의 화상인터뷰 스케줄을 맞추어야하는 이유 때문에 2주 라는 기간이 필요했던 것 같다. 동시에 다른 2개의 회사 인터뷰가 진행한 것까지 합하면 10번 넘게 한것 같다.
처음 보는 사람과 이야기를 한다는 것 자체가 긴장되는 일이기도 하고, industry 인터뷰는 예전에 졸업하고 2번정도 밖에 안 해봐서..학교에 있는 사람들과는 조금 다를 것이라 예상 되었기 때문에 신경이 많이 쓰이는 시간들었다.역시나..철저하고, 테크닉 위주이고, 목표지향적인 사람들이라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졸업할 시기에 한 친구가 인터뷰에 대해서 조언했던 내용이 기억에 남는다.
인터뷰를 하면서 내가 일한 만한 곳인지, 잘 조사하고 알아봐야 한다고 했다. 그래서 인터뷰 하는 사람이 어떠한지 관찰하고 질문하고, 적극적으로 알아봐야한다고 했다. 설령 회사가 오퍼를 주었을지라도, 내가 생각하기에 어떤 면 (예, 일하는 스타일, 직원, 내가 원하는 회사 규모, 연봉, 혜택..등등)에서 만족하지 못하면 거절할 수 있다고 했다. 채용하려는 사람에게만 주어진다고 생각했던 선택의 가능성이 나에게도 있다는 생각에 인터뷰에 대한 부담감을 조금 덜어낼 수 있었다. 그래서 예상 질문에 대한 답변을 준비하는 것 뿐아니라, 동시에 나도 그들에게 질문할 내용들에서도 많이 준비하게 되는 것 같다. 내 선택이라는 옵션은 그들이 나에게 오퍼를 주었을 때만 효력이 있는 것이기에 (물론, 회사가 결정하기 전에 먼저 거절 또는 인터뷰 중단이라는 선택을 할 가능성이 있지만) 완벽하게 동등한 입장이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나에게도 능동적인 사람으로서 인터뷰를 임하게 하는 중요한 조언이 되었던 것 같다. 능동적인 자세는 에너지를 많이 요구한다. 그래서 인터뷰 하나 끝나면, 몸의 기운이 다 빠져있다. 그래도 루틴 일들은 계속 되어야 하니까...책을 손에 쥐었는데....문득 드는 생각은 한권의 독서시간이 어쩌면 책과 나의 인터뷰 시간들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https://image.aladin.co.kr/product/25835/61/cover150/8937463695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