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런던에서 온 사나이
벨라 타르 감독, 틸다 스윈튼 외 출연 / 무비플렉스 / 2012년 12월
평점 :
품절
지루했다. 엄청나게 지루했다. 문득 시계를 보니 2시간이 지나가있었다. 벌써?
영화에서는 대사가 나오고 있었다. "제가 어제 살인을 저질렀습니다." 대충 이런 대사였던 것 같다. 어제라고? 아직도?
로베르 브레송에 대한 강의에서 김성욱 프로그래머님이 이런 말을 한 적 있다. 브레송은 리얼리즘의 재현을 거부했다. 그는 영화가 단지 현실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파편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현실을 재구성하려고 했던 것 같다. (정확하게 이런 말을 한 것인지 모르겠지만 적어도 내가 이해하기에는 이런 식으로 들렸다.) 벨라 타르는 브레송과 정반대의 지점에서 리얼리즘을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 예를 들어 "현실의 재현" 이라는 기준이 있다면 그것을 파편화하는 방법이 있는 반면(브레송) 그 재현의 가장 깊은 곳까지 파고들어가 우리의 행동 - 집을 나서서 목적지에 가는 행위, 술을 마시는 것, 시선 등 보통 영화에서 생략하는 것 - 을 해부학의 시선으로 보여주는 방법(벨라 타르)이 있는 것이 아닐까? 그의 영화는 런닝 타임이 150분이나 될 이유가 하나도 없음에도 불구하고 150분이다. 보통 영화에서 어떤 사건을 보여주는 것에 중점을 맞추는 것에 반해 이 영화는 사건의 시작부터 사건 이후의 시간까지 모든 시간을 다 보여준다. 불필요하다, 라고 관객이 느낄 때까지.
초반에 목격 스퀀스를 보면 알 수 있다. 영화사에서 어느 감독도 벨라 타르처럼 그 장면을 찍지 않을 것이다. 그는 한 컷으로 스퀀스를 만들었는데, 그것은 어느정도 지루함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그 지루함을 정확히 일상적인 것임을 말해주는 피사체도 함께 보여준다. 우리는 영화를 우리의 삶과는 멀리 떨어져있는 '주인공의 삶'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극장에 간다. 그곳에서는 기쁨도, 슬픔의 극복도, 쾌감도 발생하지만 살인도, 강간도, 신성 모독도, 죽음도 발생한다. 그것들은 우리의 삶이 아니기 때문에 가치 갖는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도로에 죽어있는 비둘기의 시체를 불쾌하다고 생각하지만 프레임 안에 있는 사람의 시체는 불쾌함보다는 (영화에 따라) 쾌락, 고통, 슬픔의 감정으로 느끼게 된다. 그러나 벨라 타르의 영화에서는 '특별한 사건'들보다는 '일상적인 반복'이 주를 이룬다. 이 영화를 보고 지루하다고 느끼는 이유는 그것뿐이다. 목적없는 목격. 누구도 아무 이유없이 타인을 관찰하지 않는다. 사랑, 증오, 관심이라는 감정적인 렌즈를 통해서만 우리는 '재미있게' 어떤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벨라 타르의 영화는 영화의 목적 자체를 전복시킨 것을 수도 있다.
언젠가 벨라 타르의 영화(토리노의 말)를 보면서 이런 생각을 한 적이 있다. 일주일의 반복을 보여주면서 2시간 20분 내내 지루함을 유발하다가 마지막 10분으로 생각지도 못한 충격을 준 영화였는데, 극장을 나오면서 문득 아, 나는 정말 감정을 소모하는 방법을 몰랐구나. 라는. 왜냐면 나는 극장에 갈 때(혹은 책을 볼 때, 친구를 만날 때, 연인을 만날 때, 사람들을 만날 때, 밥을 먹을 때 등등) 항상 즐거움만을 생각하고 행동한다. 고통, 슬픔 등의 부정적인 감정(지루함까지)은 즐거움을 목적으로 했지만 상황이 따라주지 않아 어쩔 수 없이 느끼는 부차적인 감정인 것이다. 그러나 벨라 타르의 영화를 보면 누구나 지루함을 돈 주고 경험할 수 있다. 억울하다고 느끼기 전에, 먼저 반성할 것. 나는 왜 즐거움'만을' 위해 영화를 보고 있는가? 말도 안되지만, 어쩌면 즐거움이라는 감정이 어떤 한계가 있어서 계속 그곳에만 물을 주다보면 죽어버리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예술 영화라는 것에 대해, 나는 아무것도 모르겠고 알고 싶지도 않다. 영화에는 예술이 없다. 어쩌면 모든 영화가 예술일 수도 있다. 그러나 나는 그 어떤 기준도 세우고 싶지 않고 누군가의 기준에 따르고 싶은 마음도 없다. 그냥 나에게 좋은 영화, 나에게 나쁜 영화만 있을 뿐이다. 어떤 점에서 런던에서 온 사나이는 나에게 좋은 영화일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