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액스
도널드 웨스트레이크 지음, 최필원 옮김 / 그책 / 2011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것은 새로운 이야기가 아니다. 하나의 재현일 뿐이다.
1760년. 마을에서 힘들게 밭을 개간하던 사람들은 어느 날 영문을 모른 채 쫓겨나게 된다. 그들이 밭을 일구는 대신 양을 키우는 게 더 땅을 유용하게 쓸 수 있다는 지주들의 판단 때문이었다. 그래서 농사를 짓던 이들은 떠돌며 농장 노동자가 되고 어떤 이들은 공장 노동자가 된다. 우리는 이것은 인클로저 운동이라 배웠다.
1811년. 영국 노팅엄의 직물공업지대. 사람들이 공장으로 몰려간다. 그들은 광기어린 몸짓으로 기계들을 파괴하기 시작한다. 그들의 눈에는 기계들이 인간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진보가 아니라 자신의 노동력을 대체하는, 그래서 착취해버리는 괴물로 보였다. 그들은 노동하기 위해, 기계를 파괴하였다. 우리는 이것을 러다이트 운동이라고 배웠다.
이 두 개의 시민운동은 자본이 인간을 대할 때 얼마나 잔인해 질 수 있는지 알려준다. 자본주의라는 소용돌이에서 살아나려면 우리는 항상 쫓겨나는 자보다는 쫓아내는 자가, 기계를 파괴하는 자보다는 그 파괴에 분노하는 자가 되어야 한다. 다른 식으로 말하면 우리는 항상 인간을 대할 때의 제 1 원칙은 합리성이 되어야 한다. 윤리적이지 않다고 생각하는가? 알랭 바디우는 말한다. “자본주의 안에서 윤리는 존재할 수 없다. 자본 자체가 비윤리적이기 때문에.” 이 책은 자본 안에서 윤리를 지우고 시작하는 이야기이다.
너무나 절박하다. 우리는 그것을 너무 잘 알고 있다. 1997년 IMF는 구조조정이라는 이름으로 수많은 사람들을 절벽으로 몰아붙였다. 구조조정의 다른 말은 우리가 살아남기 위해 네가 죽어야 되는 것이다. 문제는 수많은 ‘네가’ 바로 ‘우리’라는 것이다. 결국 전자의(살아남는) 우리와 후자의(죽어야 되는) 우리는 절대로 같을 수 없다. 이것은 현재 1%와 99%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액스의 주인공 버크는 물론 후자이다. 그는 열심히 일했고 더 일 할 수 있지만 유행처럼 번지는 인원감축에서 살아남을 수 없었다. 3년간 무직으로 지낸 버크는 하나의 결심을 한다.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경쟁자를 죽이는 것. 이것은 그의 생각이 아니다. 그는 이미 한 번 당한 피해자이다. 여기에는 윤리와 생존의 선택이 있다. 윤리는, 생존이 보장 된 후에 갖출 수 있는 인간의 교양이다. 적어도 자본주의 안에서는. 그렇다면 그는 왜 자신과 같은 처지인 실업자를 죽이는가? 왜 자신을 자른 임원을, 사장을, 자본가를 죽이지 않는가? 문제는 간단하다. 그들을 죽이는 것으로는 아무것도 해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는 살인자가 되려는 것이 아니라 실업자가 되지 않으려 한다. 그는 자신과 처지가 같은 (그러나 자신보다 뛰어나다고 판단되는) 실업자와 (스스로 생각하기에) 자신이 일할 곳에서 운이 좋아 일을 대신하고 있는 한 명의 노동자만 죽이면 되는 것이다. 이것이 좀 더 합리적이다. 합리적으로 살인하기. 이것이 자본주의의 생존 법칙이다.
그렇게 그는 한 명씩 죽여 나간다. 운이 좋을 때도 있고 좋지 않을 때도 있다. 그러나 그는 성공한다. 자신의 행동이 정당한지 의문도 품지만 그 의문 역시 살인이 반복될수록 천천히 정당화된다. 나의 생존과 타자의 죽음을 저울질 할 때 더 무거운 쪽은 당연히 나의 생존이다. 이 정당화는 소설에서 중요하게 다뤄진다. 왜냐하면 그가 걸리지 않는다면, 그것이 단지 윤리의 문제로만 다뤄지고 법/불법의 문제로 다뤄지지 않는다면 그것이 가능하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가 6, 7번의 살인 후 안전하게 취직되고 행복하게 살아간다면, 그것은 이 이야기가 동화가 아니라는 것이다. 동화 속 세상에서만 권선징악이 이루어진다.
이것은 은유가 아니다. 현실의 조각일 뿐이다.
말 그대로다. 이것은 은유가 아니다. 해고는 살인이다, 라는 말은 진실이다. 그리고 해고를 한 자의 살인(즉, 해고)과 해고를 당한 자가 다른 자를 살해하는 것(말 그대로 살인)은 역시 윤리적 문제가 아니다. 이것은 법의 문제다. 걸리지 않으면 처벌받지 않는다. 더 똑똑하고, 더 빠르고, 더 잘 적응하는 자가 살아남는 자이다. 나는 언젠가 이 소설의 텍스트가 실재의 세상에서 똑같이 재현된다 해도, 그것을 믿을 수 있다. 왜냐하면 현실에서는 이것보다 더 믿기 어려운 일들이 일어나기 때문에. 다시 한 번 반복하지만. “자본주의 안에서 윤리는 존재할 수 없다. 자본 자체가 비윤리적이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