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들의 향연, 인간의 만찬 - 배반의 역사로 잃어버린 궁극의 맛을 찾아서
김현진 지음 / 난달 / 2015년 12월
평점 :
절판


인간은 ‘먹지 않고 살 수 없는 존재’다. 따라서 먹는 행위가 종교, 역사,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음은 당연한데 음식문화의 관점에서 그것들을 살펴볼 생각을 하지 못했다. 이런 점에서 김현진의 <신들의 향연, 인간의 만찬>은 나의 사고의 지평을 넓혀주었다. 이 책, 놀랍도록 참신하고 풍성한 인문학 향연을 베풀어 놓았다.

 

모든 살아있는 것은 먹어야 산다. 그리고 무엇을 먹는다는 것은 다른 생명을 취한다는 뜻이다. 내가 살기 위해 다른 생명을 죽여야 한다는 역설에서 벗어날 수 없는 것이 우리의 실존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먹는 일에 좀 더 겸손해져야 하지 않을까? ‘제1장. 신들의 향연’에서 저자는 그리스 신들이 먹는 암브로시아, 인도 경전인 리그베다에 나오는 소마(soma)주, 성경 에덴동산의 선악과, 붓다의 식중독으로 인한 죽음, 등을 말한다. 결국 신들의 향연인 제사는 그 만찬이 끝나면 인간에게 주어진다. 그것은 너나 나의 것이 아니라 신들의 음식이니 모두가 함께 나누었다. 우리가 식탁의 음식을 나눌 때 신들의 향연에 동참하는 것이다. ‘제2장. 인간의 만찬’에서는 예수의 최후의 만찬, 불교의 탁발 윤리를 언급한다. 결국 바람직한 밥상 공동체를 이루어 가야 이 세상은 희망이 있다. 바람직한 밥상 공동체를 이루려면 순종과 겸손과 섬김이 있어야 한다. 저자가 ‘제3장. 구도자의 밥상’에서 소개하는 동방교회의 성자 유프로시누스의 전설은 많은 통찰력을 준다. 유프로시누스는 수도원에서 인간의 가장 밑바닥 본성을 드러내는 식탁을 차리면서 성자의 길을 걸었다. 그렇다면 저자의 말처럼 이전 시대의 어머니는 유프로시누스와 같은 성자의 길을 걸은 것인지도 모른다. 다른 사람의 식탁을 준비하기 위해 자신을 가장 낮은 자리로 내려놓는다는 것, 그것은 이 땅에 인간의 만찬을 넘어 신들의 향연을 베푸는 길이 아닐까?

 

이 책을 읽으며 나의 식탁을 돌아본다. 하루도 거르지 않고 아니 한 끼도 거르지 않고 고기반찬을 접한다. 일주일에 예닐곱 번은 외식이다. 기름지고 엄청난 양의 식사들. 지구촌 한쪽에서는 수없이 많은 생명이 굶주림으로 죽어 가는데, 나는 어디에 쓰려고 내 몸을 사육하고 있는가? 좀 더 소박하고 겸손한 식탁을 추구해야 한다. 그것이 내 몸을 건강하게 하고 영혼을 고결하게 만드는 비결 중 하나다. 식사비를 줄여 기아로 고통당하는 세계의 어린이를 위해 조금 더 기부해야겠다. 저자가 소개한 사이트에 들어가 내가 세계 70억 인구 중 몇 번째 부자인지 확인해 보았다. 70억중에서 약 6백만 번째, 상위 0.1%다. 내가 이렇게 부자라니 오히려 부끄럽다. 검소한 식탁을 통해 나눔의 식탁을 만들어갈 때 비로소 우리는 인간다워지는 것이 아닐까? 인간답게 사는 것에 대해, 생명을 존중하는 평화의 세상을 이루는 일에 대해, 희망과 꿈이 있는 세상을 만들어가는 일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한 독서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