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려놓기 연습 - 행복을 만끽하는 평생 축복의 길
정영순 지음 / 브니엘출판사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나는 신앙의 본질은 ‘나를 비우고(내려놓고) 하나님으로 채우는 것’이라고 믿는다. ‘내려놓기’란 자기만을 사랑하는 이기적인 모습과 자기의 의를 드러내려 하는 외식적인 모습을 버리는 것이다. 이 ‘내려놓기’는 모든 영성의 출발점이다. 하나님과 본체이신 예수님도 자기를 비우시고(내려놓으시고) 죽기까지 순종하셨다(빌2:6~8). 신앙이란 이 예수님의 마음을 본받는 것이 아닌가!(빌2:5, “너희 안에 이 마음을 품으라 곧 그리스도 예수의 마음이니”). 그런데 오늘날 많은 교회의 강단에서 외쳐지는 메시지는 ‘내려놓기’가 아니라, ‘채워넣기’다. 기도하면 원하는 것을 가질 수 있고, 원하는 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가르침에 근거해 믿음 생활을 하면, 교회에 열심히 나가고 더 많이 봉사하고 더 높은(?) 지위에 오를수록 자기중심적이 되고, 남을 정죄하고 비판하는 위선자가 되어 간다. 기도를 더 많이 하면 할수록 더욱 탐욕스러운 인간이 되어 간다. 그리고 이런 태도로 신앙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모인 교회는 또 하나의 바벨탑이 되어간다. 

이런 한국교회의 상황에서, 정영순의 <내려놓기 연습>은 나름대로 개개인의 신앙과 교회의 문제점을 잘 드러내고 있다. 그는 프롤로그에서 루터의 이야기를 하면서 제 2 종교개혁의 소망을 드러낸다. 그리고 우리가 일상생활과 교회 생활에서 내려놓아야 할 것들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그는 일상생활에서 자기중심적인 의식, 남을 쉽게 판단하고 정죄하는 태도, 신앙생활의 외식적인 껍데기, 왜곡된 신앙의 태도를 내려놓는 연습을 하라고 도전한다. 또 교회 생활에서 조직의 틀, 배타적인 태도, 차별적 의식, 정치적 유혹을 내려놓아야 한다고 도전한다. 나는 이 모든 것들이 우리가 ‘내려놓기 연습’을 해야 할 것들이라는 데 전적으로 동의한다.  

그러나 이 책에는 좀 더 근본적인 질문들이 빠져있고, 저자 자신이 올바른 신앙 공동체를 이루려고 고민하고 노력하는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하나의 예만 들어 보자. 그는 타 교회에 대한 배타적 사고방식을 비판한다. “교인이 새로 교회에 등록하면 크게 환영을 한다. 그러나 교인이 다른 교회로 옮긴다고 하면 어떻게 하는가? … 박수를 치고 환송을 하는가, … 배신자와 같이 여기는 경우도 많이 본다. … 같은 주님을 섬기는데 내가 다니는 이 교회면 어떻고 다른 교회에서 섬기면 어떠한가? …내가 다니는 교회에만 하나님이 계시고, 이웃 교회에는 하나님이 계시지 않는다는 말인가?”(pp. 47~48).  

나는 저자의 이런 단세포적인 비판에 못마땅하다. 저자는 어떤 교인이 자신이 다니던 교회를 떠나 다른 교회로 가는 이유가 무엇인지 더 근본적으로 물었어야 한다. 신앙생활은 하나님과 나만의 관계가 아니다. 공동체로 함께 하나님을 예배하고 하나님의 통치를 받으며 주님을 닮아가는 것이다. 교회에서 교인들이 왜 다른 교회로 이동하는가? 자신이 다니는 교회가 하나님의 말씀과 복음에서 멀어져 있다면 자신의 영혼을 위해 옮겨야 할 것이다. 그런 경우를 제외하면 더 많은 경우 인간관계가 힘들어서, 혹은 자신이 교회의 중요한 직분에서 밀려나서, 개인적인 필요(감정적, 물질적, 영적 필요)를 충족받기 위해 옮기는 것이 아닐까? 내가 볼 때, 많은 사람들은 자기 자신(자기 중심의식, 다른 교인이나 목회자를 판단하고 정죄하는 태도, 교회 공동체를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려는 마음의 결여, 등)을 내려놓지 못해서 교회를 옮기는 경우가 더 많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런 사람들을 정죄하면 안 되겠지만, 그들을 박수치고 환송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렇게 하는 것은 교회가 오히려 이기적인 신앙을 부추기는 것이며, 제대로 신앙을 지도하지 못하는 것이 아닐까?   

내가 이 책에 대해 말하고 싶은 것은 이것이다. 한국교회에 대한 저자의 비판은 큰 틀에서는 대부분 옳지만, 비판하는 글들이 때로는 피상적이고 일방적이다. 이런 책을 쓰려면 좀 더 진지하게 고민하고 성경적이고 신학적인 대안을 제시할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저자는 자신의 프로필에 제시한 것처럼, “한국교회 ‘성장’에 꼭 필요한 등불이 되려는 비전을 갖고” 교회 친절 및 매너 교육, 여성 리더십 등을 교육하는 일들을 한다. 교회 성장을 위해 친절 교육과 여성 리더십을 교육하는 저자에게 한국교회의 문제에 대한 일반적이고 피상적인 비판을 넘어 더 근본적인 비판과 올바른 신학적 대안을 기대하는 것은 너무 지나친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