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인을 양육하는 행복한 권사 - 권사는 하나님 교회의 어머니이자 행복 전도사이다 직분자 시리즈 3
김병태 지음 / 브니엘출판사 / 201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교회를 섬기는 행복한 장로>, <교회를 세우는 행복한 집사>의 저자, 김병태 목사님이 쓴 교회 직분론 세 번째 책입니다. 이 책은 세 가지의 직분론 중에서 가장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가르침을 주고 있습니다. 

권사는 어머니의 마음을 가진 자여야 한다고 저자는 힘주어 말합니다. 왜냐하면 어머니는 자기희생의 마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 것이죠. 교회처럼 아픔과 상처가 많은 곳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김 목사님은 “교회가 영적 병원이라면, 의사는 예수님이고, 목회자와 권사는 바로 간호사와 같다”(p. 39)고 명쾌하게 정의를 내렸습니다. “간호사 같은 권사,” 참 마음에 와 닿는 표현입니다. 권사님들이 교회에 오는 사람들의 작은 상처까지 이해하고 감싸주려면, 좋은 상담자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그래서 이 책 2장에는 상담에 대한 실제적인 지침을 친절하게 정리해 놓고 있습니다.  

한편, 권사는 탁월한 교사와 구역장이 되어야 한다고 3장에서 말합니다. 권사는 한문으로 ‘勸(격려할 권), 師(스승 사)’입니다. 정말이지 교회에서 목회자 다음으로 성도들을 권면하고 가르쳐야 할 직분이 권사인 셈이죠. 비록 성경에는 그 명칭이 나오지 않는다 할지라도, 권사의 직분처럼 목사님들 다음으로 교회를 신앙으로 세워주는 직분은 없다 싶습니다. 그래서 저자는 4장에는 ‘권사들은 목회를 돕는 효과적인 심방대원이 되라’고, 5장에서는 ‘피스메이커가 되라’고, 6장에서는 ‘목회자를 세워주는 권사가 되라’고 충고합니다.  

아마도 대부분의 교회에서 일어나는 일 - 그것이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 중에 많은 것들은 권사님들의 입을 통해 시작됩니다. 결국, 모든 교회 직분론의 원론으로 돌아가, 일꾼의 신앙인격이 제일 중요한 것입니다. 저자는 다른 직분론과 마찬가지로, 거룩한 영적 습관을 계발하고, 집에서 좋은 내조자가 되며, 스스로를 잘 관리하는 사람이 되라고 7, 8, 9 장에서 가르치고 있습니다.  

저는 남자임에도 불구하고, 김병태 목사님의 세 가지 직분론 중 ‘권사 직분론’을 제일 재미있게 읽고, 많은 도전을 받았습니다. 특히 마지막 10 장, ‘행복의 오솔길을 찾아가는 권사가 되라’를 읽으면서 행복했습니다. 저도 교회에서 직분을 가지고 있음을 감사했습니다. 10장은 단지 권사들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교회의 모든 직분자들에게 적용되는 근본적인 자세일 것입니다. 교회의 직분자들은 누구나 섬김의 자세로 일해야 행복할 것이며, 목사님들의 설교를 통해 마음껏 은혜를 누려야 행복할 것이며, 격려와 칭찬을 아끼지 말고 창조적으로 즐겁게 일해야 행복할 것입니다.  

저는 교회의 직분을 감당하는 것이 무거운 짐이나 의무가 아니라, 행복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꾼 개개인이 주님을 닮은 인격을 가지고, 무엇보다도 진실한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제가 다니는 교회의 모든 일꾼들이 맡겨진 직분을 감당하면서 ‘행복의 오솔길’을 걸어갈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 그리고 그 ‘행복의 오솔길’에 저도 있기를 소망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