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를 바꾼 물고기 이야기 - 개정판
오치 도시유키 지음, 서수지 옮김 / 사람과나무사이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세계의 역사는 뜻밖의 사건뿐만 아니라 뜻밖의 물건이나 음식에 의해서도 그 흐름을 바꾸곤 합니다. 중세 유럽, 종교적으로 육식이 금지된 피시 데이(Fish day)’에는 지방이 많은 청어(herring)가 대체 식품으로 주목받았습니다. 당연히 청어를 많이 잡을 수 있는 도시들이 부를 축적하고 엄청난 정치 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회유어인 청어가 발트해에서 많이 잡혔을 때는 발트해 연안 도시들이, 북해에서 많이 잡혔을 때는 북해 연안의 도시들이 번성했습니다. 청어의 출몰이 발트해에서 북해로 옮겨간 이유가 무엇이었을까요? 어쨌든 저 유명한 한자동맹(Hanseatic League)이 청어로 인해 흥망성쇠의 부침을 겪었다는 것이 흥미롭습니다. 청어가 세계 역사를 바꾸었다는 주장에 고개가 끄떡여집니다.

대구(cod)는 단백질이 풍부한 생선으로 말리거나 소금에 절여 장기 보관하기 쉬웠습니다. 따라서 장거리 항해에 주요 먹거리가 되었고, 이는 신대륙 발견에도 지대한 공헌을 했습니다. 필그림 파더스가 신대륙 외딴곳에서 전멸하지 않을 수 있었던 것은 아메리카 선주민의 선의 때문이었습니다. 그들이 관대하게 대구를 나누어 주었기에 필그림 파더스는 옥수수 수확 때까지 굶주림을 면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고 보니, 대구는 지금의 미국을 있게 한 물고기라 할 수 있습니다. 후에 잉글랜드가 카리브해에서 사탕수수를 대규모로 재배하면서 사탕수수 농장에서 부릴 노예와 노예의 식량으로 소금에 절인 대구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났습니다. 결국 대구 어장을 두고 뉴잉글랜드 어부는 잉글랜드 정부와 갈등했습니다. 이렇게 식민지 미국과 잉글랜드 사이의 독립전쟁이 발발한 원인 중 하나가 대구였다고 합니다.

중세 기독교의 피시 데이때문에 청어와 대구가 세계 경제 시스템을 바꾸는 물고기가 되었습니다. 후에 종교개혁으로 피시 데이가 쇠퇴하자 잉글랜드의 어업도 쇠퇴의 길로 접어들고 한때 국방력까지 약해졌다고 합니다. 이래저래 청어와 대구는 세계사를 바꾼 물고기라는 말이 나올 만합니다.

이번 독서 덕에 도서 출판 사람과 나무 사이에서 출간한 세계사를 바꾼시리즈에 관심이 갑니다. 세계사를 바꾼 10가지 약, 13가지 식물, 10가지 감염병, 커피, 맥주 등등. 모두 일본인 저자군요. 이 중 , 감염병, 커피는 시간 나는 대로 읽어보고 싶습니다. 역사적으로 유익한 상식을 재미있게 쌓을 수 있는 좋은 책들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