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악마와 함께 춤을 - 시기, 질투, 분노는 어떻게 삶의 거름이 되는가
크리스타 K. 토마슨 지음, 한재호 옮김 / 흐름출판 / 2024년 12월
평점 :
분노, 질투, 앙심, 경멸 등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지 않고 사는 사람은 한 명도 없다. 전통적으로 윤리와 종교에서 삶을 파괴하는 부정적인 감정은 어떻게든 통제하고 제거해야 한다고 가르친다. 이런 가르침 때문에 우리가 죄책감과 좌절감을 느끼는 것은 아닐까? 이 책의 저자는 다른 관점에서 부정적 감정을 다룬다. 저자의 관점에 따르면, 나쁜 감정은 마음의 정원에서 뽑아내야 할 잡초가 아니라 정원의 토양을 비옥하게 해주는 지렁이다. 다시 말해, 나쁜 감정은 좋은 삶의 장애물이 아니라는 것이다. 감정은 수학 문제 풀 듯 다루어야 할 것이 아니다. 우리는 그런 감정을 가지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물어야 한다.
1부 제목이 인상적이다. “꽃이 만발한 정원으로의 초대”다. 꽃이 만발한 정원의 흙은 지렁이가 가득하듯, 의미 있는 삶에는 부정적 감정도 가득함을 표현한 것이다, 감정 통제형 성인들이 있다. 간디와 신스토아주의가 전형적인 예다. 감정과 마음은 통제해야 한다는 전제에서, 불교의 ‘마음 챙김’이나 기독교를 차용한 ‘긍정적 사고방식’과 같은 가르침이 유행한다. 감정 수양형 성인들도 있다. 공자와 아리스토텔레스가 대표적인 예다. 올바른 성품과 올바른 사고를 하면 좋은 감정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감정을 완벽하게 통제하지도 단련하지도 못한다. 우리는 감정을 훈련하기보다 감정에 귀를 기울이는 법을 배워야 한다. 지렁이가 정원의 일부인 것처럼, 긍정적 감정이든 부정적 감정이든 모든 감정이 내 삶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감정을 어떻게 하려고 하지 말고 그냥 직면하고 받아들여야 한다고 초지일관 주장한다. 그렇게 할 때, 자신이 누구인지 알아가고 연약한 자신을 솔직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이다.
2부는 “악마와 함께 춤을”이란 제목으로 분노, 시기와 질투, 앙심과 쌤통, 경멸, 등과 같은 부정적 감정을 철학자들의 주장을 살피며 구체적으로 탐구한다. 그리고 이렇게 결론을 내린다. “나쁜 감정은 좋은 삶을 방해하지 않는다. 나쁜 감정은 당신에게 문제가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아니다. 이것들은 정확히 자기가 해야 할 일을 하는 것뿐이다. 즉 당신이 자신의 삶에 애착을 가지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p. 265). 부정적 감정에 관한 이 책의 관점에 참신하다. 감정은 독립성이 있어서 우리의 통제를 벗어나 있다. 그것을 통제하려고 하니 비극이 발생한다. 부정적 감정을 없애거나 변명하거나 정당화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 보자. 그러면 내 삶에 어떤 변화가 있을까? 감정과 이성이 항상 반대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니 부정적 감정을 통해서도 자신의 삶에 대해 긍정할 수 있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