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의 언어 - 삶과 죽음의 사회사, 2024 아우구스트 상 수상작
크리스티안 뤼크 지음, 김아영 옮김 / 북라이프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기독교인으로 자살은 죄악이라고 말하는 아우구스티누스나 토마스 아퀴나스의 가르침에 동의합니다. 그러나 무신론의 사회에서는 이런 종교적 가르침이 별 의미가 없을 것입니다. 현대인들은 자신의 삶은 자신의 것이며 따라서 삶을 마감할 권리도 자신에게 있다고 생각합니다. 심지어 자살은 다른 동물에게서는 발견되지 않는 인간 고유의 행위라는 것입니다.

이 책의 저자는 진화론적 관점에서 자살과 안락사(조력사)를 진지하게 성찰합니다. 사람들은 대부분 살아가면서 여러 번 자살을 생각한다고 합니다. 다만 행동으로 옮기지 않을, 아니 행동으로 옮기지 못할 뿐입니다. 인간이 자살을 통해 삶을 포기하는 일은 분명 쉽지 않습니다. 자신을 죽음으로 몰아가려면 살고자 하는 본능을 꺾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어떤 이들이 자살할까요? 자살 위험 요인은 많습니다. 가족 중에 자살로 사망한 사람, 술과 약물에 노출된 사람, 우울증을 앓는 사람, 헤어짐, 괴롭힘, 생활고 등을 겪는 사람, 등등. 우리는 자살을 권장해서는 안 되며, 안락하게 죽을 수 있는 방법을 공유해서는 안 됩니다. 자살을 시도한 사람 중 많은 이들이 죽음의 순간에 두려워지고 살고 싶은 생각이 든다고 합니다. 안락사 방법이 공유되면 죽을 필요가 없는 사람, 죽고 싶지 않은 사람까지도 죽음으로 몰아넣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살이 삶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인 사람에게 안락사를 돕는 일이 과연 잘못된 일인지 저자는 진지하게 고민합니다. 실제로 스웨덴에서는 불치의 병으로 고통당하는 고령의 사람으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온전한 정신을 가진 분들은 법적으로 조력사(안락사)할 수 있다고 합니다.

자살과 조력사에 관한 윤리적 문제의 핵심은 자기 결정권의 문제입니다. 과연 인간은 원하는 대로 행동해도 될까요? 조력사도 결국 사람을 죽이는 행위이니, 어떤 이유를 막론하고 이것은 살인과 다를 바가 없는 것은 아닐까요? 또 조력사는 종종 나치가 저질렀던 것처럼 악용될 수 있지 않습니까? 이 책의 저자는 잘 통제된 조력사에 찬성하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그는 위기 계획 수립프로젝트를 통해 자살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 상황을 줄이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생각합니다. 이번 독서를 통해 자살이나 조력사를 선택한 사람들의 상황과 생각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역사와 문화 등 사회학적 관점에서 살펴보면, 자살과 조력사를 용서받지 못할 죄로 너무 쉽게 단정 지을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삶과 죽음에 대해 조금은 폭넓고 깊게 생각한 시간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