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는 고흐가 당신 얘기를 하더라 - 마음이 그림과 만날 때 감상은 대화가 된다
이주헌 지음 / 쌤앤파커스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모두 삶이라는 작품을 만들어가는 자이기에 미술 작품에 교감하며 감동합니다. 미술 평론가 이주헌의 글은 많은 공감을 자아냅니다. 저자에 따르면, 작품을 감상하는 일은 자기 내면의 의미를 그림에 투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작품이 이야기하는 바에 귀를 기울일 뿐 아니라 내가 생각하는 바를 말해야 합니다. 작품을 다양하게 바라볼수록 세상을 다르게 바라볼 수 있고, 삶의 다양한 의미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프롤로그를 읽으면서 미술 감상을 공부하겠다라는 결의(?)를 내려놓고 조금은 편안한 마음으로 작품을 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미술 감상은 지식이나 이론이 아니라 교감하고 사랑하는 것이니까요.

클로드 모네의 <수련> 연작에 대해 내가 심은 수련이지만, 그 수련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는 시간이 걸렸다라는 모네의 고백이 인상적입니다. 하나의 풍경이 하룻밤 사이에 그 의미를 온전히 드러내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오래 풍경을 마주하다 보면 그 풍경이 말을 걸어올 것입니다. 특히 <수련> 연작은 모네 자신이 조성한 연못과 꽃밭을 대상으로 했으니, 그의 창조성의 정수를 담고 있다고 해야 할 것입니다. 나의 삶에 정말 중요한 변화는 일상에서 만들어가는 하루하루의 작은 것들이 쌓여 이루어집니다. 지금 나는 어떤 자세로 삶이라는 나의 예술 작품을 만들어가고 있는 걸까요?

앙리 루소는 인간적인 모자람이 있었는데, 그것이 오히려 예술가로서 능력이 되었다는 이주헌의 설명이 마음에 듭니다. 부족한 사람도 자신만의 순수한 예술을 할 수 있고 그 순수함이 인정받을 수 있다면, 부족한 점이 많은 나도 나만의 삶이라는 순수한 예술 작품을 만들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 현대인들은 마치 상품을 공장에서 마구 찍어내듯, 자신의 삶을 사회의 규범에 맞추어 찍어내려고 합니다. 돈 벌고 명성을 얻고 성공했다는 세간의 평가를 위해 에너지를 쏟습니다. 그런데 거기에는 혼과 정신이 빠져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반 고흐의 그림은 순수함과 진실함, 항구적인 아름다움이 담겨 있기에, 많은 사람에게 감동을 주는 것입니다. 이 책에 나오는 작품들과 이주헌의 설명을 대하며, 작품들이 나에게 무슨 이야기를 들려주는지 귀 기울여보고 삶에 관한 나의 이야기를 작품에 건넵니다. 어느새 나는 나 자신을 삶의 예술가로 여기며 내 삶이라는 작품이 어떻게 완성될지 그려봅니다. 많은 작품과 대화하는 멋진 독서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