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밀화로 본 정원 속 작은 곤충들
프랑수아 라세르 지음, 이나래 외 옮김, 마리옹 반덴부르크 일러스트 / 돌배나무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풀과 꽃, 나무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곤충들에게도 시선이 갑니다. 이 책은 우리 주변에서 대부분 쉽게 만날 수 있는 곤충 100종을 세밀화로 보여줍니다. 집게벌레, 잠자리, 노린재, 여치, 귀뚜라미, 땅강아지, 풍뎅이, 무당벌레, 나비와 나방 등, 어릴 적 풀밭이나 마당 꽃밭에서 자주 보고 가지고 놀았던 곤충들이 정겹게 다가옵니다. 그 많던 친구들은 다 어디로 간 것일까요?

아스팔트와 아파트로 상징되는 도시화 속에서 곤충들은 멀리 떠나고, 우리는 그들 없이도 잘 사는 듯 보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착각입니다. 이 책의 추천사에 따르면,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 조류, 그리고 나무들과 같은 거대한 종들은 지구 전체 동식물군 총량의 고작 몇 퍼센트에 지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생물의 절대다수는 1그램이 되지 않고 1년을 살지 못합니다. 이 작은 생명체들이 지구를 순환시키며 인간과 다른 동물들이 살 수 있게 해 주는 고마운 존재들입니다. 이 작은 생물들을 관찰하고, 이름을 알아가고, 이해하고, 그들의 자리를 마련해주고 존중해 주는 일이 지구를 살리고 우리를 살리는 일이 될 것입니다.

이 책은 작은 곤충들을 사랑하는 법을 소곤소곤 말합니다. ‘항라사마귀는 무성한 수풀이 있어야 불러들일 수 있으니, 미적인 집착에서 벗어나 정원 가장자리를 다듬지 않아야 합니다. ‘반점노린재집에 들어오면 바깥으로 내보내 주어야 한답니다. 집의 온기가 그들의 겨울나기를 방해해 결국 죽음에 이르게 하기 때문이죠. ‘연푸른부전나비는 사람의 손을 타지 않는 환경을 필요로 한답니다. 사실, 모든 곤충의 최고 천적은 인간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인간이 자신의 편리함과 미적 감각을 위해 만든 것들이 곤충의 서식지를 파괴하고 작은 생명체들을 생존의 위험으로 내몰고 있습니다. 조그만이라도 욕심을 내려놓고 친환경적인 삶을 추구하다보면 이 옛친구들을 삶의 곳곳에서 만날 수 있을 겁니다. 추억에 젖는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