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희 외 4인의 한시 24수 - 한자 따라 쓰기 한자를 알면 어휘가 보인다
김정희 외 지음, 큰그림 편집부 기획 / 도서출판 큰그림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문 서예를 배우면서 한시를 써보고 싶었는데, 이 책을 만나니 반가웠습니다. 이 책은 추사 김정희, 퇴계 이황, 다산 정약용, 매월당 김시습, 만해 한용운, 이렇게 조선 시대의 문인 다섯 분의 한시를 수록해 놓고 있습니다. 이들의 한시를 한 페이지에 큰 글자로 소개하고, 이어서 모든 한자를 세 번씩 쓸 수 있게 만들어 놓았습니다. 그리고 붓펜으로 써볼 수 있는 페이지도 있습니다. 한자 따라 쓰기로는 제격인 책입니다. 하지만 단지 한자 연습만 하는 책은 아닙니다. 머리말에 한시(漢詩)에 대한 설명이 나옵니다. 시 속에는 시인의 삶과 시대적 상황을 내포하고 있어, 시인의 삶도 짐작할 수 있다는 일반적인 시론에 고개가 끄덕여집니다. 대부분 시 후반부에 주제가 담겨 있다는 설명도 염두에 두고 한시를 소리 내어 여러 번 읽어보면, 한시의 운치를 느끼게 됩니다. 각 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없어 아쉽지만 그래도 한시를 나름대로 감상할 수 있습니다.

한시라고 하면 왠지 깊고 고상한 사상이 담겨 있어 어려울 것이라 지레짐작합니다. 하지만,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의 시를 읽으면서 한시가 훨씬 친근하고 가깝게 다가왔습니다. “온갖 꽃을 다 꺾어 보아도(折取百花看)/ 우리 집 꽃만 못하구나(不如吾家花) / 그거야 꽃의 품종이 달라서가 아니라(也非花品別) / 단지 이것이 우리 집에 있어서라네(祇是在吾家)” 일상에 우리가 느꼈던 것을 이렇게 깔끔하게 표현할 수 있다니 참 마음에 듭니다. “잠깐 맑았다 비 오고 비 오다 다시 개니(乍晴乍雨雨還晴) / 하늘의 도리도 오히려 이러한데 하물며 세상 인심 오죽하랴(天道猶然況世情)”라는 시구를 대하며 매월당 김시습(梅月堂 金時習)의 파란만장한 삶이 느껴집니다. 덕분에 그에 관한 정보들을 찾았습니다. 최초의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의 저자인 김시습은 결혼생활도 원만하지 못했고 계유정난(癸酉靖難) 소식을 듣고 승려가 되어 전국을 유랑하며 절개를 지켰다고 합니다. 이 책을 통해 조선 시대의 문인 여섯 분의 삶까지도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시간 나는 대로 붓글씨로 이들의 한시를 써볼 생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