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 책 (도시 풀꽃 에디션) - 식물세밀화가 이소영의 도시식물 이야기
이소영 지음 / 책읽는수요일 / 2020년 4월
평점 :
품절


그저 잡초라 불리는 길가에 핀 식물들에 대해 이름과 그 나름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알려 주는 책이다. 잡초라는 게 어디있는가. 모두가 아름다운 생명이고 귀한 것이다.

서양민들레가 토종민들레를 밀어냈다는 오해를 풀면서 시작하는 이 책은, 주변에서 자주 보았으나 이름도 모른 체 지나친 많은 식물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나보다 더 오래, 더 강인하게 뿌리를 내려 열심히 살아오는, 그리 흔하게 보는 풀인데도 어쩌면 인간들의 이기심에 내일이면 볼 수 없을지도 모르는 식물들에 대해 애정어린 시선으로 작가는 그림을 그리고 기록하고 있다.

식물의 특징과 발견한 이와 원산지가 학명으로 많이 쓰이는데, 우리 토종 식물들이 일제강점기에 일본식물학자들에 의해 보고되면서 일본이름들이 많이 보여 안타까웠다. 어지러웠던 시절 빼앗긴 나무종자들도 속상했다. 구상나무, 미스김 라일락, 산딸, 원추리,호랑가시나무...

제일 재미있게 읽은 부분은 참나무다. 우리나라 선인들은 이름도 재미있게 지은 것 같다.

상수리 나무를 중심으로, 상수리 열매보다 열매가 조금 길어서 갈참, 열매가 길고 가늘어서 졸참, 열매가 둥글어서 굴참. 잎으로 떡을 싸서 떡갈, 짚신 바닥이 헤지면 덧대서 신갈나무인, 참나무 육총사.

그러고 보면 어릴 때 밤나무를 보면서, 그 열매가 좀 작으면 너도밤나무? 말밤나무 등 친구들과 낄낄대며 이름들을 재미있어했던 기억이 있다. 길거리에 가로수로 많은 마로니에 나무의 열매는 마롱인데 정말 밤처럼 생겼다. 독이 있고 맛도 그닥이라고 한다.

이 책을 읽고 나니, 은행나무열매가 냄새가 난다면 싫어했던게 미안해진다.(누가 냄새나는 인간보고, 너는 냄새가 나니 자손번식을 하지마, 짝을 만나지마 하면 난리가 나겠지.)

올해는 샤인머스켓 대신 홍주씨들리스를, 아오리 대신 섬머킹을, 복숭아는 유미로, 딸기는 설향딸기로, 우리가 개발한 우리 종자로 우리 땅에서 키운 아이들을 골라서 먹어볼까한다.



이 책을 읽으며 떠오른 책은 바로 보리 세밀화 시리즈이다.

아이가 어릴 적 같이 읽으며 같이 보며 정말 좋아했던 책. 특히 상수리 나무며 느티나무며 참나무며 정말 바라보고 있으면 바로 옆에 턱하니 줄기 하나가 그늘을 만들어 주는 듯 마음이 시원했다. 동물세밀화에서는 아이와 제일 좋아했던 게 바로 똥강아지~ 역시 강아지는 똥강아지가 귀엽다.

곤충조차 징그럽기보단 부드러운 파스텔색에 보드랍고 따뜻하게 느껴지지만 실제 보는 건 사양.



오늘 우리집 개님과 산책을 하며 민들레를 만나고, 개망초를 보며 즐거웠다. 반가운 애기똥풀을 보며 줄기를 꺾으면 진짜 노란진액이 나올까, 그게 정말 진통제 역할을 할까 신기해하고, 토끼풀을 보며 꽃으로 반지 만들던 어린시절도 떠올랐다. 아파트 담벼락 위, 부지런한 수위아저씨가 정성으로 키운 덩굴장미들을 보며, 공존하는 삶이란 참 아름답고 기분 좋은 일임을 새삼 깨닫게 된다. 이 깨달음이 오래 가야 할 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식물의 책 (도시 풀꽃 에디션) - 식물세밀화가 이소영의 도시식물 이야기
이소영 지음 / 책읽는수요일 / 2020년 4월
평점 :
품절


한쪽에서는 은행나무를 자연유산으로 삼고 보존을 위해 DNA를 채취하는 등 후계나무 육성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또 다른 한편에선 그 나무가 스스로 번식하는 것조차 막고 있는 것입니다. 도시의 식물들은 대부분 인간의 요구에 의해 증식되어 식재됩니다. 저는 그런 만큼 우리가 이들에 대한 책임감 또한 갖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한자리에서 뿌리내리고 있는 나무이지만 이들을 살아 있는 생물로 여기고 바라본다면, 번식 방법의 하나인 열매에서 나는 악취나 낙엽도 너그러이 받아들일 수 있지 않을까요. 그들에겐 그게 자연스런 삶의 과정이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들이 역사를 배우면서 질문도 많아지지요. 외워야만 했던 예전 학창시절의 역사가 아니라 흐름과 재미를 주는 역사책을 소개합니다. 고학년이 되어 처음 역사를 배우는 아이들과 대화하고 소통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49호 품목의 경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47
토머스 핀천 지음, 김성곤 옮김 / 민음사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열역학 제2법칙

‘열의 출입이 차단된 고립계에서는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변화가 일어나지 않고, 항상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하며, 결국에는 엔트로피가 극대값을 가지는 평형상태에 도달한다
즉 닫힌 사회는 결국 파멸한다.

안주하며 살던 가정주부 에디파는 소외된 이들, 미국의 검은 그림자같은 존재들을 만나게 되고, 자신이 믿고 마무르던 닫힌 사회에 대해 의문을 품는다. 혹시 자신이 미쳐버린 것인지 옛남친의 짓궂은 장난인지 왜 나와 관련된 이들이 죽어가는지 마치 환각에 취한듯 혹은 환상을 보는 듯 하지만, 그녀가 보는 것은 현실이며 그녀가 속했던 예전 세계가 마치 연극처럼 느껴진다.
매트릭스에서 알약을 먹고 현실을 인지하듯 여기서는 LSD를 먹고 현실을 지운다. 깨어나려는 그녀는 끊임없은 소외된 자들의 소통을 보면서 , 아프지만 자신이 믿고 있던 나름의 안락했던 삶에서 벗어나 진실을 찾으려 한다.

그녀는 우연히 옛남친의 유산정리사로 지정되었음을 통보받고 어찌할바를 몰라 눈물을 흘리기도 하지만 결국 우표나 연극 그리고 낙서 속 힌트들을 통해 현실을 자각하려는 그리고 소외된 이들을 눈여겨 보게 된다

솔직히 상징이 많아 헷갈리기도 했다. 너무 많으니 혹시 이건 그냥 작가가 썼을뿐인데 상징을 찾으려는 건 아닐까하는 걱정이 들기도 했다.
1950년대 냉전의 시대이자 매카시즘의 시대를 지나 히피들이 판치던 혼란의 시대 1960년대.
그러니 이 시대 미국은 말 잘 듣는 아이와 질문하는 아이로 나뉘는 때가 아니었을까. 그리고 누가 더 나은지 어느 것을 선택하는 것이 옳은지 혼란스러운 시대.
질문하는 아이들, 그리고 자본주의 논리에 의해 민주주의라면서도 빈자에겐 주어지지 않는 권리를 즉 상속의 권리(그것이 물질이든 정신이든)를 원하지만 철저히 배척되는 이들이 서로 적극적 공감과 소통을 하는 비밀단체? 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라푼젤처럼 그저 높은 탑에서 아무 것도 모른체 살아가던 에디파는 탑에서 나와 새로운 상징들을 쫓으며 그녀 또한 소외된 이로서 자각하고 결국 수수께끼를 풀고자 한다. 그녀는 비밀을 알아냈을까.

미국이 말하던 자랑스런 가치와 도덕은 사실 위선적이며, 어쩌면 오히려 옳지 않음과 부도덕을 가르치는 것, 옆을 보지 말고 그저 가르치는 것만 받아들이며 멍한 눈으로 세상을 살라는 것, 그 세상에서 사는 것이 행복일까 내적 혼란을 통해 장막을 걷어내고 깨달음을 얻는 것일까

기억에 남는 것이 에코모텔이다.
제우스의 바람을 감싸려 헤라에게 수다를 떨다가, 분노한 헤라에 의해 남의 말을 따라서만 할 수 있게 된 에코가, 나르시스를 사랑해 그의 차가운 거절에 말라죽어간 에코가 치마를 펄렁이며 자본주의의 미소와 몸매를 보여주고 있다. 그녀의 애절한 사랑은 묻히고 가려지고 사람들에게 보여지는 건 결국 보여주고자 하는 자의 목적일뿐, 실제 아프고 힘들었을 에코는 볼 수 없다. 그 장막을 들추며 에디파는 현실을 보게 된다. 아름답지 않은, 미칠 것 같은 현실. 그래서 더 집착하는지도 모른다. 증거들을 모아 수수께끼를 푸는 것 그래서 본인 또한 그 곳에서 소통함으로서 소멸되지 않기를.
트레스테. 우울하나 제 3의 가능성이 있는 곳.


( 아래의 그림은 ~ 지구의 덮개를 수놓으며~ 책 속에 삽입된 그림이며, 에디파가 감동해 눈물을 흘린 그림이기도 하다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20-05-21 17: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나마 진입 장벽이 낮은
책은 토머스 핀천의 책이라고
생각하고 덤벼 들었다가 낭패
를...

<중력의 무지개>는 과연 언제나
읽게 될런지.

mini74 2020-05-21 18:09   좋아요 0 | URL
저도 너무 힘들었어요. 읽히긴 하는데 내가 제대로 이해하고 읽는건지 의문이 ㅠㅠ 레삭매냐님 정돈된 글 읽고 좌절도 했습니다 ㅎㅎ
 

심리학 재미있으면서도 어려운 학문이 아닐까요.
첫 시작부터 조금 더 깊이있게 심리학을 배울 수 있는 책들을 소개할까 합니다. 제가 정말 재미있게 읽었던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