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관련 서적들을 읽고.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사람이 단 한 권의 책을 읽은 사람이라고 그랬던가. 그래서 가장 무서운 사람이 되지 않기 위해 니체 책을 그나마 쉬워 보이는 책으로 세 권을 골랐다.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이건 아직도 ~언젠가는 읽겠지~ 책장에 꼽혀 있다. ㅎㅎ)
철학자들은 깡이 있는걸까 보통 사람들은 자신이 한 말대로 살기란정말 하늘의 별따기다. 당장 방금 내가 한 말도 기억이 나지 않거니와상황과 분위기에 맞춰 대략 혹은 얼추 거짓과 은폐를 하며 살아가는게 인간아닌가.
그리고 이런 현혹적인 말솜씨를 자랑하는 게 철학자?
결국 번드르한 말들만 하던 이들은 야바위꾼이 되고? 고통스러워도자신이 진리라고 내뱉은 말대로 살아가려 노력하고 자책하는 이들은위대한 철학자가 되나 보다. 니체를 위대하다고 말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지 않을까. 자신의 신념대로 살다간 이.
(아래는 뭉크가 그린 니체이다.)
니체는 뭉크와 어울린다고 생각했다 . 뭉크가 니체의 영향을 받았기때문이기도 하고, 두 인물의 닮은 점들과 뭉크가 그린 니체를 보면서.
그런데 이 책은 니체의 생각과 고흐의 그림이 어우러져 나온다. 아. 그러고보니 우리 가슴에 별로 가는 지도를 그려 준이가 바로 고흐구나. 니체가 우리에게 삶에서 위선과 거짓을 쫓아내고 진실의 삶을 말할 때, 고흐는 그림 속 별들을 흩뿌리며 그 곳으로 가는 길글 그리고있었구나.
고흐와 어우러져 더 울림이 있는 책이 되었다. 물론 뭉크도 좋다
고흐의 그림과 니체의 잠언들이 어우러져 제법 사색에 도움을 준다. 가끔 멍하게 고흐의 그림을 보기도 하고, 옆에 쓰여 있는 니체의 글들을 읽기도 하면서, 둘은 참 닮았구나란 생각을 했다. 인생도 살의 방식을 선택하는 것도.
( 니체하면 바그너와 뭉크? 바그너 아내 이름이 코지마라고 한다. 자꾸 안마의자 광고가생각나서 ㅠㅠ 집중이 ㅠㅠ 코지마)
고통과 우울의 삶을 살면서도 , 수많은 이들의 위로가 되어 준 그들이다.
파랑새는 집에 있듯, 내 행복 또한 허상과 가면 이미지가 아닌 내 속에 있는 것. 텔레비젼속 여행지의 여유와 부유한 이들의 플렉스 따윈 허상이며 본질이 아니다. 내 것, 내 속에서나는 땅을 파고 드는 두더쥐마냥 나를 찾아야 한다. 누구의 행복도 누구에게 보여주는 기만과 허상이 아니라, 내가 파랑새가 되어야 한다. 과도한 도덕규범도 과도한 자기비판도옳지 않다. 나 자체로 선하고 아름다운 나, 내가 결국 파랑새다.
두 번째 책은 니체의 삶을 여행하는 책이다. 니체가 살아 온 곳과 애정을 가진 장소, 거기서 쓴 책들을 소개한다.
사유하는 삶 속에서 미쳐간 철학자, 스스로 수없이 싸웠을 그리곤 넋을 놓아버린 철학자, 그런 니체를 하나의 시가 된 철학자로 소개한다. 자신을 아무도 이해하지 못할 것임을 알기에 더 고독했던 철학자다. 가상도 진실도 다 파괴하려는 다이너마이트같은 철학자.
내겐 아직도 니체는 어렵다. 세상도 어렵고 니체도 어렵고, 호기롭게 읽어보겠다고 사 놓은 철학서들이 두렵다. 삶의 두려움이 엄습하는 순간이다. ㅎㅎ
“진리란 없다, 모든 것이 허용된다.”
“ 이제 너희에게 말하니, 나를 버리고 너희를 찾도록 해라. 그리고 너희가 모두 나를 부인할 때에야 나는 너희에게 돌아오리라.”
(이건 저번에 읽은 니체의 인생강의를 정리한 내용이다.
니체의 인생강의.
크게 다섯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첫 번째는 신의 죽음.
니체하면 신은 죽었다가 가장 먼저 떠오를 것이다.
그의 철학은 기존의 가치관을 부수는 “망치의 철학”으로 위험하게 살라고 말한다.
위선과 가면을 벗고 의심하며, 우상과 허구가 권력에의 의지로 만들어짐을 항상 경계하며, 인간이 아닌 다이너마이트같은 존재로, 오히려 자아를 망각하며 지금에 집중하면 자신도 모르게 자아를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
왜 사느냐의 물음에 답은 없으며 아무것도 진리가 아니기에 모든 것이 허용되는 능동적 허무주의를 이야기한다.
의미없는 존재가 의미있는 이유는 의미에 대한 질문을 던질 때.
“신이 죽는다면 네가 바로 인격이 되고, 네가 바로 너의 자아를 찾게 될 것이다.”
결국 신이 죽었다는 본래의 네가 되라는 것.
두 번째는 권력.
권력은 악한 것이 아니라, 권력이 발현되는 방식에 악이 있을 수 있다고 말한다.
“너의 내면을 들여다봐라. 그 자체가 권력에의 의지다”
기독교적 사랑은 그저 반동적 수동적, 그래서 교리에 따를 뿐, 권리가 오히려 넘친다면 시기와 질투대신 허용과 관용이 생긴다는 것이다. 비등한 권력의 친구사이엔 질투가 생긴다. 그렇지만 월등한 권력을 가진 이에게 질투를 가지지 않는 것처럼 말이다.
세 번째는 초인
위버멘쉬
책을 읽다보면 심심찮게 보는 단어다. 위버는 ~을 넘어서, 멘쉬는 인간. 그러니 초인은 인간을 넘어서는 것이다.
신이 죽고 난 후 우리는 성공만 추구하며 대중적 가치를 좇고 주어진 상태에 만족하는 최후의 인간이 되거나, 스스로 가치를 창조하며 창조의 과정을 중시하는 긍정적 인물인 초인 즉 위버멘쉬가 되느냐 선택해야 한다.
아모르 문디 (Amor mundi) 이 세계를 사랑하다.
긍정하라.
“머리은 심장에 있는 내장에 불과하다”
네 번째는 영혼회귀
우리가 사는 삶은 무수히 반복되는 삶 중 하나, 의미를 두지 마라. 그러나 온 몸으로 끌어안아야 할 긍정적인 것이다.
끊임없는 변화가 사실은 진리라는 것이다. 삶을 있는 그대로 긍정하며 내일은 잘될거야 란 밀래가 아닌 현재를 살라는 것이다.
“나의 사상이 가르치는 것. 다시 살고자 원할 수 있도록 그렇게 살아라. 그것이 과제다”
그러면서 아마 신은 죽었다 다음으로 유명한 낙타와 사자, 어린아이 이야기가 나온다.
You should , I will , I am as I am.
무거운 짐으로 공경과 복종을 짊어 진 낙타의 삶, 낙타는 도덕적 명령으로 그 무게를 견뎌야한다. 당위의 정신이다.
“네가 자유를 원하면 명령할 줄 알아야 한다.”
포효할 줄 아는 사자. 자유의지를 향한 의지이다. 자신의 길을 가는 사자, 내가 주인이 되는 것이다.
어린아이, 망각의 힘으로 새로운 관계를 맺을 줄 아는, 삶을 놀이로 신선한 긍정으로 순종과 명령과 자연스러움의 공존. “네 존재를 받아들이라”
다섯 번째 Amor Fati
어쩔 수 없이 해야하지만, 그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네 운명을 사랑하다.
차라투스트라는 춤추는 자이다. 춤을 출 줄 아는 자는 운명을 사랑하는 자. 몸이 가벼우며 자신의 몸을 긍정하는 자이다.
자신의 약점에 거리를 두는 것, 유머로 포장하며, 삶을 가볍고 춤 추듯 사는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리로 몰락하지 않기 위해서 예술이 필요하다.
삶을 이끄는 두 신은 그래서 아폴론(나의 목표는 나의 삶이 유지되는 짧은 시간에만 적용되니 어쩌면 한낱 허구와 환상일수도 있다. 그러나 나에겐 의미있는 환상)과 디오니소스(도취와 망각, 소통)이다. 고통은 결과적으로 구원의 가능성이니 고통을 긍정하다.
마지막으로 기억에 남는 구절들이다.
“네가 여기에 태어난 것은 무죄다.
네가 지금 생성되어 가는 것은 무죄다.
네가 어떤 존재가 될지도 무죄다.“
“오이디푸스를 따르지 말고 프로메테우스를 따르라”
<니체 책을 읽고 내가 한 일은 전화번호를 정리한 일이다.
(인생에서 한 번도 악역을 해 보지 않은 사람의 선함은 믿을게 못된다는 말이 있다. )
나는 매번 선하고자 했다. 타인에게 착한 사람 선한 서람이고자 했다.
하지만 그건 진실이 아니었다. 내 선택이나 행동이 옳지 않다고 해도 그건 타인 인생에서의 악역이었다. 내 선택이 타인의 인생에서 악역일뿐 내 삶에선 그저 나의 선택일뿐이다. 타인의 삶에서의 역할에 더 신경쓰느라 정작 나의 드라마는 산으로 올라갔다.
그렇지만 여전히 내 선택은 타인의 보편타당한 범위에서 이루어지겠지. 그러나 타인삶 속 역할보단 내 삶에서의 주인공 역할에 더 할애하며 살아야 겠다는 늦은 깨달음. 그럴려면 제일 먼저 해야 할일은? 문어발처럼 펼쳐 놓은 타인의 삶 속 내 역할들을 정리하는 것. “ 난 이제 네 드라마의 악역으로 출현하지 않겠어. 난 이제 네 드라마의 심심풀이 단역역할을 그만둘래.” 속으로 되뇌어본다.
그리고 전화번호 , 이 번호가 뜨면 심장이 두근거리거나 한숨이 쉬어지는, 혹은 받기 싫어 한참을 울리게 뇌두는 번호들을, 착한 척하려 남겨두었던 괜스런 불안함에 지우지 못했던 번호들을 삭제한다. 욕을 먹은들 어떤가. 그들의 드라마인걸, 안 보면 그만이다.
내 삶에 전복의 망치를 들 때이다. 아모르 파티와 아모르 문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