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의 인생 강의 - 낙타, 사자, 어린아이로 사는 변신의 삶
이진우 지음 / 휴머니스트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고등학교 시절 도덕이나 윤리과목에서나 접했던 이름 니체.

알고 싶으나 알기 힘든 철학가? 매번 니체 관련 책을 읽다가 덮어 버리곤 했다.

그래서 정말 쉽게 시작해 보자고 선택한 책.

그래, 니체 입문서? 그래도 누군가 니체를 이야기하면 대강 알아 들을 수 있게 만들어 주는 책이다. 그렇지만 나에겐 딱 맞는 책이다. 니체의 삶과 그의 사상이 마치 친절한 선생님의 수업처럼 귀에 쏙쏙 들어왔다. 알고 봤더니 실제 작가님이 강의하신 내용이란다.

니체의 인생강의.

크게 다섯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첫 번째는 신의 죽음.

니체하면 신은 죽었다가 가장 먼저 떠오를 것이다.

그의 철학은 기존의 가치관을 부수는 “망치의 철학”으로 위험하게 살라고 말한다.

위선과 가면을 벗고 의심하며, 우상과 허구가 권력에의 의지로 만들어짐을 항상 경계하며, 인간이 아닌 다이너마이트같은 존재로, 오히려 자아를 망각하며 지금에 집중하면 자신도 모르게 자아를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

왜 사느냐의 물음에 답은 없으며 아무것도 진리가 아니기에 모든 것이 허용되는 능동적 허무주의를 이야기한다.

의미없는 존재가 의미있는 이유는 의미에 대한 질문을 던질 때.

“신이 죽는다면 네가 바로 인격이 되고, 네가 바로 너의 자아를 찾게 될 것이다.”

결국 신이 죽었다는 본래의 네가 되라는 것.



두 번째는 권력.

권력은 악한 것이 아니라, 권력이 발현되는 방식에 악이 있을 수 있다고 말한다.

“너의 내면을 들여다봐라. 그 자체가 권력에의 의지다”

기독교적 사랑은 그저 반동적 수동적, 그래서 교리에 따를 뿐, 권리가 오히려 넘친다면 시기와 질투대신 허용과 관용이 생긴다는 것이다. 비등한 권력의 친구사이엔 질투가 생긴다. 그렇지만 월등한 권력을 가진 이에게 질투를 가지지 않는 것처럼 말이다.



세 번째는 초인

위버멘쉬

책을 읽다보면 심심찮게 보는 단어다. 위버는 ~을 넘어서, 멘쉬는 인간. 그러니 초인은 인간을 넘어서는 것이다.

신이 죽고 난 후 우리는 성공만 추구하며 대중적 가치를 좇고 주어진 상태에 만족하는 최후의 인간이 되거나, 스스로 가치를 창조하며 창조의 과정을 중시하는 긍정적 인물인 초인 즉 위버멘쉬가 되느냐 선택해야 한다.

아모르 문디 (Amor mundi) 이 세계를 사랑하다.

긍정하라.

“머리은 심장에 있는 내장에 불과하다”



네 번째는 영혼회귀

우리가 사는 삶은 무수히 반복되는 삶 중 하나, 의미를 두지 마라. 그러나 온 몸으로 끌어안아야 할 긍정적인 것이다.

끊임없는 변화가 사실은 진리라는 것이다. 삶을 있는 그대로 긍정하며 내일은 잘될거야 란 밀래가 아닌 현재를 살라는 것이다.

“나의 사상이 가르치는 것. 다시 살고자 원할 수 있도록 그렇게 살아라. 그것이 과제다”

그러면서 아마 신은 죽었다 다음으로 유명한 낙타와 사자, 어린아이 이야기가 나온다.

You should , I will , I am as I am.

무거운 짐으로 공경과 복종을 짊어 진 낙타의 삶, 낙타는 도덕적 명령으로 그 무게를 견뎌야한다. 당위의 정신이다.

“네가 자유를 원하면 명령할 줄 알아야 한다.”

포효할 줄 아는 사자. 자유의지를 향한 의지이다. 자신의 길을 가는 사자, 내가 주인이 되는 것이다.

어린아이, 망각의 힘으로 새로운 관계를 맺을 줄 아는, 삶을 놀이로 신선한 긍정으로 순종과 명령과 자연스러움의 공존. “네 존재를 받아들이라”



다섯 번째 Amor Fati

어쩔 수 없이 해야하지만, 그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네 운명을 사랑하다.

차라투스트라는 춤추는 자이다. 춤을 출 줄 아는 자는 운명을 사랑하는 자. 몸이 가벼우며 자신의 몸을 긍정하는 자이다.

자신의 약점에 거리를 두는 것, 유머로 포장하며, 삶을 가볍고 춤 추듯 사는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리로 몰락하지 않기 위해서 예술이 필요하다.

삶을 이끄는 두 신은 그래서 아폴론(나의 목표는 나의 삶이 유지되는 짧은 시간에만 적용되니 어쩌면 한낱 허구와 환상일수도 있다. 그러나 나에겐 의미있는 환상)과 디오니소스(도취와 망각, 소통)이다. 고통은 결과적으로 구원의 가능성이니 고통을 긍정하다.



마지막으로 기억에 남는 구절들이다.



“네가 여기에 태어난 것은 무죄다.

네가 지금 생성되어 가는 것은 무죄다.

네가 어떤 존재가 될지도 무죄다.“





“오이디푸스를 따르지 말고 프로메테우스를 따르라”



(딱 한 권의 책만 읽은 사람이 가장 위험하다고 토마스아퀴나스가 말했다고 한다. 나는 지금 니체와 관련해서 가장 위험한 사람일수도. 니체 책들을 뒤적거리며 추석연휴를 보낼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