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 사람과 역사를 기록하다 - 개정증보판
배한철 지음 / 생각정거장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물의 초상화를 보면서, 역사적 사실을 알아가는 매력이 있다. 그 사람이 살아온 세월이 얼굴에 드러난다는데, 마마자국마저 혹은 사시마저 고스란히 그려내는 조선의 초상화가 가장 그 말에 걸맞지 않을까.

흉년에 고통받는 백성들을 돕고 양역을 바로잡는 암행어사로, 알려진 감독 순찰 등의 암행어사 역할과는 거리가 먼 박문수의 호방한 초상화

가장 유명한 윤두서의 자화상은 귀아 옷깃 그리고 주름 등은 세월에 퇴색되었지만 강렬한 눈빛은 지금도 종이를 뚫고 나올 듯 하다.
유일하게 군복을 입은 사팔뜨기 눈의 철종 어진, 정확하진 않은 명성왕후의 초상과 사진, 우리나라에도 원시적 옵스큐라가 사용된 부마 정현조의 세밀한 초상.
지폐속 인물들의 초상이 대부분 화가의 상상이었고 남은 자료들의
미비함이 안타까웠다.
김명국 장승업 최북의 그림들과 그 속에 담겨있는 작가의 얼굴들, 특히 사슴에게 글을 가르치는 신선을 그림 장승업의 < 녹수선경>이 눈길을 끈다. 조선시대 그림치곤 특이하기도 하고 사슴의 진지한 모습과 나란히 모은 앞발, 신선의 개구진 얼굴이, 자그마한 책장이 평생 얽메이길 싫어했던 그의 모습과 어울린다. 내 얽메여 사느니 차라리 사슴에게 주자를 가르치는 신선이 되리.

부귀영화와 절친과 명성과 장수를 모두 가졌던 겸재 정선의 < 독서어가> 올 여름 정선처럼 부채 하나 쥐고 책을 읽으며 여유롭게 더위에 대처해 볼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