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신.시골의사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
프란츠 카프카 지음, 전영애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본주의의 태동기에 노동자에대한 보호가 전무한 상태에서 인간을 기계부품처럼 보는데 대한 회의가 느껴진다.
생산성을 잃은 인간은 버러지만도 못한 존재 .

지금 현재에도 근기법등 사회보장제도로 보호한다고 하지만 빈부의 차로 인해 새로운 신계급이 생기며 여전히 돈 없는 이들을 흙수저란 이름으로 부르는데 이게 바로 과거의 그레고르 잠자가 벌레로 보이는것과 같은 의미가 아닐까

같이 책을 읽은 아이가 물었다
엄마 그레고르가 인간이야 벌레야?

~인간이지.우리가 관용적표현으로 벌레같은 인간이란 표현쓰잖아. 환경이나 배경에 따라 양심없는 인간을 의미하기도 하고~ 카프카의 시대에는 더 이상 유용하지 않은 자를 의미하지. 돈을 벌 수 없는 자. 진짜 벌레라는 게 아니라~ 가족에게도 소외되고 주변에서도 경멸의 대상이 되어 모두가 벌레처럼 보는 것. 그래서 그래고르 또한 스스로를 벌레처럼 느낀 거고. 저번에도 말했지만 현대사회에선 소유물의 가치로 사람을 수저 취급하지만 그렇다고 사람이 정말 수저인건 아니잖아. 그러나 그런 수저계급이 사람들을 상처입히고 열등감이나 패배감을 심어주지. 그레고리가 벌레취급 받으며 스스로 벌레라 느끼며 삶의 의지를 잃어간 것 처럼 ~


아이가 또 물었다

그러면 그레고르는 인간으로 살기위해 노력해야했을까요? 아니면 벌레의 모습에 순응하고 살아가야했을까요?

그레고르가 꼭 뭘 해야 할까? 그래고르는 벌레가 아니고 사람이야. 벌레로 보는 건 주변이고. 여전히 인간이야그레고르는. 그래고르가 변하는게 아니라 주변의 천박한 사고와 잔인한 자본주의 이데올로기가 변해야지 않을까. 그레고르가 순응한다는 건 또 이미 인간인데 인간이 되려 노력해야 한다는 건 책 내용을 좀 잘못 이해하는거 아닐까. 이런거지. 회사에서 일을 하다가 장애를 입었어. 다리를 잘라냈고 이제 일을 못해. 사람들은 수근거리고 사회에선 그를 쓸모없는 벌레취급해. 그런 상황에서 장애인이 된 그가 그래 난 장애인이야 이러면서 순응해야 할까 아니면 다시 일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까. 그는 노동력을 잃었으니 사람으로 보지 않는 사회가 변해야 하는 걸까

그래고르는 벌레로써 적응을 하려하지만 상처를 입고 결국 삶을 포기하지. 그레고르가 포기하지 않고 노력했다면 일 하는 벌레가 되지 않았을까. 벌레가 된 그를 (경제적 능력을 잃은 그)그대로 받아주며 도와주는 사회가 먼저 선행되어야 하지 않을까

그냥 필독서 처럼 읽었던 변신인데,
제법 머리가 굵어진 아이와 다시 읽으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내 대답이 정답은 아니지만 아이에게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