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주의 결혼식 푸른숲 역사 동화 2
최나미 지음, 홍선주 그림, 전국초등사회교과 모임 감수 / 푸른숲주니어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찰을 전하는 아이 시리즈의 두번째 편 쯤 되는 이 책은 읽는 내내 조금 불편한 기분을 들게 했다.
여자에게 있어 시집살이라는 걸 처음으로 하게 되는 옹주.
지켜 줄 어미가 없기에 모두들 거부했던 시집살이를 하게 된 세종의 이복여동생
숙신옹주(운휘)
숙신옹주에게도 지켜 줄 든든한 어미가 있었다면 저리 쉽게 옹주의 지위를 버리고 온전히 시집살이 당해내야하는 혼례를 치르지 않았을 것이다.
딴 건 다 제쳐 두고 나 또한 어머니이기에 그것이 가장 마음이 아팠다.

아내의 지위가 강했고, 또 발언권도 컸던 조선 초, 대부분 처가살이를 하고, 또 친정행이 손쉬웠던 시절....명나라가 미개하다 하며 고칠 것을 권하자 왕실에서 먼저 모범을 보이게 되고
그 첫번째 희생양?이 바로 이 숙신옹주였다.
왕족신분 대신 오롯이 아내의 역할을 해야 하는 숙신옹주의
시집살이가 그리 편하지 않을 것임을 보여주며 소설은 끝을 맺는다.
(신사임당은 든든한 친정이 있어 아름다운 시와 그림 나름 잘 키운 자식들에 둘러싸여 지냈지만.
허난설헌은 고된 시집, 못난 남편에 시 짓는 며느리를 싫어했던 시어머니..일찍 떠나버리는 아이들에 어느 것하나 녹록하지 않았으리라. 두 사람이 갑자기 비교되는 건 왜일까)
그나마 이 책 속 운휘옹주는 당차고 씩씩하다.
자신을 매번 골탕먹이는 ,어미 치마폭에 쌓인 익녕군과는 달리 진실하고 솔직하다.
그러니 어쩌면 멋지게 시집살이를 해낼 지도 모른다.
그러나 작고 여린 아직 어린 운휘옹주가 안쓰럽기도 하다.

(명나라, 그리고 유학, 조선의 지배층들이 원했던 친영례. 남편이 아내를 데려와 시집살이 시작되는 그 역사를 이 책이 담고 있다.
아이들을 위한 역사책이라지만,
곧 있을 명절을 앞두고
분노하게 만드는 책이다.
괜히 세종대왕이 미워지는 느낌.ㅎㅎ 왜 세종의 친딸 정의공주는 친영례를 보내지 않은걸까요...
세종도 알고 있었던 거지요. 친영례로 시집가는 이의 고달픔을. 친정나들이가 힘들것임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