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 데니소비치, 수용소의 하루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지음, 이영의 옮김 / 민음사 / 199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 적. 좋아했던 책 중의 하나다.

이 책의 미덕은
읽다가 덮어 놓아도
잠시 던져 놓았다, 아무 곳이나 펼쳐도
그리 어색하지도 않고
자연스럽게 읽히는 것이다.
주인공의 삶이랄게 하루 하루 죽음과의 싸움인데도
뭐랄까 수용소에서의 음식과 노동 추위, 살아남기와 그 속에서 일어나는 소소한 일들이 너무나 자세히 적혀 있어
마치 아무 일도 없는 듯 수용소의 하루들이 지나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그래서 어디부터 읽어도, 덮어 놓았다 펼쳐도 여전히 주인공은 수용소에서 고분분투중이다.


그래도 그리 암울하거나 우울하거나 슬프지 않은건 주인공이 가진 인간적인 따스함이 아닐까
이념도 그 무엇도 알지 못하고, 소박한 삶을 살아가던 이반은
도무지 알 수 없는 이유로 수용소에 갇혀 서도
열심히 살아간다.
십년이 다시 십년이 되어도 묵묵히 소박하게
살아간다.
죄없으나 억울해 하기보다는 묵묵히 살아가고 이겨내고
거기서도 가장 밑바닥 인간을 인간이게 하는 그 무언가를 간직한체
살아가는,
한 끼의 배부름이 없어도,지옥같은 그 곳에서도, 측은함과 선량함을 잃지 않는 이반을 보며
이반처럼 하루를 무사히 보냄에 감사기도를 하게 된다.

고등학생 시절 읽을 때는 그저 수용소 삶에 대한 호기심, 이빨 몽땅 빠진 선량한 이반을 생각하며 읽었다면
지금은
수용소에서 살아남지 못하는 자는
남의 밥그릇을 핥는 자와 밀고자다라는 글귀에 눈이 간다.
수용소에서조차 권력에 기생하고, 돈에 아부하는 이들을 보며
새삼 이반의 순수함이 고맙게 느껴진다.
결국 나쁜건은 이반이 아니라 이반을 거두는 그 사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