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루다의 우편배달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4
안토니오 스카르메타 지음, 우석균 옮김 / 민음사 / 200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렇게 재미있게 읽히고, 페이지 수 줄어드는게 아까운 책은 정말 오랜만이다.
예전 연애소설 읽는 노인 읽을때 그런 기분을 느끼곤 했는데...

네루다란 시인의 시도 찾아 봤다.
그리고 닭살스럽게도 한번 소리내 읽어 보기도 했다.

책 한구절, 바다를 이야기하는 시를 소리내 읽어 보고
메타포의 향연을 보며
참 시란......아름답구나란 생각을 했다.
세상 모든 것이 메타포임을 알게 되었을때 마리오는 시인이 되어
또 다른 눈으로 세상을 보게 된다.

이슬라 네그라란 작은 섬
바닷소리, 새소리, 갈매기....
그리고 네루다의 우편배달부 마리오
칠레의 태양만큼이나 불타는? 마리오와 베아트리스의 사랑
그 사이에 중매쟁이가 되어 버린 네루다.
남미의 탱고와차차차처럼 네루다가 친숙해져 버렸다.

최초로 선거를 통해 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선 칠레
그러나 친미정권의 군사쿠데타로 모든 것은 다시 되돌려지고
네루다는 떠나지만

세상 모든이의 것이 된 네루다의 시는 남아 있다.
나직하게 읊조려도
주먹을 쥐고 가슴이 터져라 외쳐도
눈물을 훔치며 웅얼거려도
네루다의 시는
마리오의 이야기는 변하지 않는다.
변하지 않음의 메타포
순수와 우정의 메타포를 네루다와 마리오가 만들어 놓은 것 같다.


˝시는 쓰는 사람의 것이 아니라, 읽는 사람의 것이에요.˝라 외치던 마리오
마리오는 어디로 갔을까. 다시 돌아와 한적한 이슬라의 파도를 보고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