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링조어의 마지막 여름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30
헤르만 헤세 지음, 황승환 옮김 / 민음사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세는 우울증을 치료하기 위해 그림을 그렸다
클링조어가 고흐의 모습을 반영했다지만, 헤세의 모습 또한 담겨있다
이태백과 달을 이야기하고 예술을
사랑하는만큼 두려워하는 두 사람
많이 닮아 있다
자화상을 완성하고 자살을 택한 클링조어를 글로 써 내려가며 헤세는 자신의 힘듦을 극복한게 아닐까

(그는 자신의 얼굴, 수천 개의 얼굴뿐 아니라
눈과 입술, 고통으로 가득 찬 입의 좁은 계곡, 이마의 금이 간 암벽, 나무뿌리 같은 손, 경련을 일으키는 손가락, 오성의 비웃음,
눈에 어린 죽음 등도 그려 넣었다.
그는 자신이 고집대로 과도한, 억압된, 발작적인 붓질로
자신의 삶, 자신의 사랑, 자신의 신앙, 자신의 절망을 그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