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수용소에서 (양장) - 빅터 프랭클의
빅터 프랭클 지음, 이시형 옮김 / 청아출판사 / 200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유대인관련 책들이나 영화들 보다 조금 더 흥미롭게 읽었던건
작가가 그 어렵고 힘든 상황에서 살아남은데다가 그 속에서의 성찰과 깨달음을 통해 로고테라피 라는 새로운 정신요법을 창시한 것?
한 순간의 매 순간순간이 죽음과 삶의 기로였을 그 곳에서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지키며, 결국 인간답게 삶으로서 살아남아 또 다른 힘든 이들을 위한 새로운 희망과 치료를 위해 노력한다는 것.
이기적일수록, 인간다움을 잃을 수록 더 빨리 그렇게 집착하는 삶으로부터 빨리 멀어진다는 것.

인간으로서의 자존심, 나를 무너지지 않게 하기 위해 만든 스스로의 규칙인 수염을 깎는 행위로 인해, 오히려 젊어보여 삶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것.
그러나 많은 이들은 그러한 순간에 무너지거나, 인간이기를 포기하지만, 그렇다고 그런 사람들을 비난할 수는 없는 것이다.
나는 죽음의 공포보다, 인간의 바닥이 드러나고, 인간으로서의 존엄성따윈 개나 줘버린, 자존심이라곤 없는 맨 바닥의 삶에서 누군가를 밀고하고 누군가의 개가 되지 않고 , 정말 소중한 가치들을 간진한 채 견뎌낸 빅터 프랭클 박사의 삶에서 나 자신을 되돌아 보게 되었다.
나는 누군가의 개가 되지 않고, 자존심을 지키며(물론 여기서의 자존심이란 인간으로서의 최소한의 자존심, 누군가를 밀고하지 않고 누군가를 밀어내지 않고 누군가를 밟지 않고 살아가는 것이다) 정말 소중한 사랑등의 가치를 가슴에 품고 인간으로 살아갈 수 있을까? 그런 상황에서?


˝근본적으로는 어떤 사람이라도, 심지어는 그렇게 척박한 환경에 있는 사람도 자기 자신이 정신적으로나 영적으로 어떤 사람이 될 것인가를 선택할 수 있다는 말이다. 강제 수용소에서도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지킬 수 있다.˝

나는 그럴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