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력할 땐 아리스토텔레스 ㅣ 땐 시리즈
다미앵 클레르제-귀르노 지음, 김정훈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조금씩, 즐겁다-무력할 땐 아리스토텔레스
딸기 좀 먹어봐. 너는 팥빙수에 반쪽으로 잘라진 깨끗한 딸기를 가리켰다. 딸기 씨가 그렇게 좋다더라. 그 옆의 바나나를 먹으며 말했다. 봄 맞아 처음 먹는 딸기는 의외로 흰색이다. 몰랐던 것처럼, 빨간 딸기의 속살은 희디 희다. 팥빙수의 딸기는 떡에 기대서 우유에 적셔져도 흰색을 잃지 않는다. 그러니까 우유도 하얗고 딸기도 하얀 것이지. 하지만 '진짜 딸기맛 우유'는 '분홍색'일까? 왜 그런지 모르겠으나. 딸기우유는 분홍색이 맞는 것 같다.
<무력할 땐 아리스토텔레스>는 자꾸만 희석되는 욕망에 대해 묻는다. 겉과 속을 섞어 무엇인지 모르게 하고 싶은, 내가 외면해버리리는 내 진짜 욕망에 대해 말이다. 내 욕망의 색은 '진짜 딸기맛 우유'처럼 분홍색이 아니던가? 마치 '진짜' 딸기의 속이라고 착각하게 하는 것처럼. 그러나 단단하게 지니고 있어야 할 딸기의 속은 흰색일 것이다. 외부와 상관없이 지속해야 할 내 감정은 어디뇨, 이렇게 큰 글씨로, 또.박.또. 박 하게 물어온다. <무력할 땐 아리스토텔레스!> 유쾌한 조합이지만 어쩐지 약간 숨기고 싶은 제목이기도 하다. 그러나 나는 결코 무력해서 읽는 것은 아니라오.
목차는 진단하기-이해하기-적용하기로 나뉜다. 몇 십년 전에 풀었던 '스스로 하는 학습지'의 목차가 떠올랐다. '분수'에 약한 것을 진단하고, '분수'를 이해하고, '분수'를 적용했던 어느 초등학교 수업시간을 떠올리면 잘 따라갈 수 있다. 혹시 그것에 트라우마가 있다면 목차는 가볍게 무시하고 와도 좋다. 책은 읽는 사람 마음이니까.
'욕망' 이라고 하면 굉장히 무섭고, 피해야 할 말 같지만, 이야기 되는(글, 공연, 음악 등등) 거의 모든 것의 주제다. 본디 삶의 주제로 자리 잡아야 했지만 '욕망'은 길을 잃어버리고 '거짓 욕망' 에 밀리느라 '이야기 되는 것'에서야 주연을 꾀찼다. 가까이에 있는 '욕망'과 '삶'의 일치는 찾아 볼 수 없을 정도로 귀하다. 불일치만 존재하는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다. 네이버 웹툰에 <미쳐날뛰는 생활툰>이라는 작품이 있다. '자매'가 나오는데, 동생은 어렸을 때부터 지금까지 만화를 그린다며 연습하고 ‥‥‥ 연습하는 것이 일과이고 언니는 회사에 다닌다. 회사인이라면 십에 팔구가 그렇듯 출근하기 싫다. 그녀는 어느 날 베개를 기타 삼아 노래를 뽑는다. 가사의 주된 내용은 '회사를 때려 치고 음악을 하고 싶다' 동생은 귀를 막으며 그럼 '때려치라!'고 한다. 하지만 이어지는 가사, '돈, 돈을 벌어야 하느니~/음악해서 돈벌면 되잖아/예술해서 돈 벌어먹긴 더럽게 힘드나니~/' (...)
생활이 곤궁하고, 앞날도 알 수 없는 동생보다 때로 언니가 더 안쓰러워 보이지는 않은지. '우리가 살아가는 일이 종종 왜 그토록 안쓰러워 보이는 것인지를 이해하고 싶다면 관심을 기울여야 할 곳은 오히려 우리 욕망이다.' 33 저자는 콕 짚는다. 언니의 노래가 베게가 아니라 진짜 기타만 되었더라도. 나는 언니의 노래를 그냥 지나갈 수 있었을 거다.
언니가 음악을 하지 않는 일은, 음악의 시작은 매우 험난하고, 그 빛을 보기는 무척 어렵다는 누구나 다 아는 이야기에 부담갖기 때문일까. 그러나 부담이라니? '기타 연주자는 기타를 치는 사람이 된다.'는 말을 기억하자. 베게만 친다면 어떤 재능이 있어도 기타를 칠 수 없다. 처음 손에 굳은살이 박히는 순서를 지나지 않으면 소리를 낼 수조차 없다. 가장 친근한 악기 중 하나지만 TV나 라디오에서 들리는 소리를 내가 내기까지는 엄청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어떨까. '혹시 더 대단한 것들을 좇으려는 갈망은 우리를 세상에 대한 혐오 속에 빠뜨리고, 그렇게 하여 좋은 것들 하나하나가 주변의 평범함과 시시함 속에 둘러싸인다.50' 이 대목에서, 멈췄던 것은 아닐까. 저자는 욕망을 포기하는 것도 모자라 포기를 주변의 이유로 돌리는 비겁함을 꼬집는다. 이게 꽤 아프다. 왜냐하면 회사를 다니는 언니가, 실은 나의 모습이 아니었냐는 물음을 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너는 종종 기타를 친다. 기타의 목적은 앨범을 내거나 연주자가 되는 것이 아니다. 네 노래에 맞는 반주를 언제나 할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근사한지. 직접 낼 수 있는 소리는 좋은 음악을 '듣는 것'과 비교할 수 없는 기쁨을 준다. 비록 서툴고, 연주 할 수 있는 음악이 한정되더라도 말이다. 기타를 사서 치는 둥 마는 둥 한지 벌써 오년이 되었다. 오년 동안 얼만큼 늘었냐고 물어본다면, 쑥쓰럽게 머리를 긁적이겠지만 그때그때 나오는 좋은 노래를 부르면서 칠 수 있는 정도가 되었다는 걸 안다. 누군가를 보여주기 위한 것 아니고, '앵콜요청금지' 나 'duet'을 노래하는 아주 행복한 삼분을 위해서 말이다. 누구나 예술에 대한 욕망이 있다. 그것은 예술자체를 업으로 지내자는 원대한 것이 아니더라도 일상에서 충분히 이뤄갈 수 있다. 예술을 사치라고 거부하는 생각은, 예술 하고 싶은 욕망을 스스로 뜯어냈던 자신에 대한 미움에서 나오는 것이 아닐까? 가위로 종이를 오리고, 노래를 흥얼거리는 아주 단순한 욕망. <무력할 땐 아리스토텔레스>에서 말하는 것처럼, 이렇게.
작가가 되기 위해서가 아니라 말의 균형을 더 잘 느끼기 위해 시도하는 글쓰기. 음악가가 되기 위해서가 아니라 소리의 조화로 귀를 교육하기 위해 해보는 악기 연주. 무용가가 되기 위해서가 아니라 몸을 다르게 볼 수 있기 위해 추는 춤. 167
욕망의 왈츠에 맞게 춤을 추자. 자연스러운 스텝은 나에게 어울린다. 나의 발과, 나의 몸짓, 무엇보다 나의 기분과. 나의 삶을 가꿀 수 있는 가능성이 보인다. 그곳에는 나를 위한 물이있고, 물은 나를 이해하는 속도로 흐른다.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일단 그런 사람이 된 후에는 그런 사람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더 없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에 귀기울이자.
마치 돌을 버리고 난 후에는 다시 그것을 잡을 수 없듯이. 그럼에도 돌을 던지는 것은 그에게 달려 있는 일이었다. 그 원리가 자신 안에 있었기 때문이다. 이렇듯 정의롭지 못한 사람과 무절제한 사람 양자에게 공히 처음부터 그런 사람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었으며 그런 까닭에 그들은 자발적으로 그런 사람이 된 것이다. 하지만 일단 그런 사람이 된 후에는 그런 사람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더 이상 없다. 윤리학 3. 1114a 14~22 / 147
그렇다면 당신이 무력한 이유, 조금은 알 수 있을지 않을까. 좋아하는 것을 조금씩 매일매일 '하'자. 욕망을 멀찍이서 보거나 다른이에게 '좋다더라'권해주지 말고. 나는 한쪽으로 몰아 준 딸기를 너에게 준다. 바나나를 먹으며 딸기를 주었던 너에게, 가장 주고 싶은 것은 가장 받고 싶은 것이기도 한다는 것을 오후 늦게 알아버린 나는, 우유가 마른 동그란 숟가락 위에 제일 큼직한 걸로 얹혀 준다. 기타를 치고, 책을 읽고, 내일을 생각한다. 조금씩, 즐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