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전 구멍 -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작 책고래 클래식 3
반성희 그림, 이민숙 글 / 책고래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전 구멍>은 조선 시대 우리 문학인 <이조한문단편집>에 실린 '환희'라는 소설을 그림책으로 엮어 놓은 책이랍니다. 그래서 그런지 우리 조상들의 지혜롭게 사람을 꾸짖는 현명함이 그림책 속에 잘 녹아있더라구요.

 

조선 시대 통역일을 맡아보던 현씨라는 사람은 자신이 맡은 일은 뒷전이고 항상 탐나는 물건이나 돈에만 관심이 많았던 인물입니다. 나중에 갚겠다면서 무조건 남들의 물건을 탐하고도 늘 뻔뻔함을 잃지 않았죠.

현씨가 청나라에 머물던 어느 날 웬 도사가 나타나서 사람들에게 도술을 보여주는데 꽃씨가 꽃으로 그리고 꽃에 다시 부채질을 하니 꽃송이가 동전으로 바뀌는게 아니겠어요. 동전 구멍 속으로 바닥에 있던 동전들을 모두 새끼줄처럼 엮어서 집어 넣고는 절대로 자신이 돌아올 때까지 구멍 안을 들여다보지 말라고 이야기하죠. 하지만 현씨는 구멍으로 들어간 동전에 눈이 멀어 결국 동전 구멍 안으로 들어가게 되고 그 곳에서 보물을 발견하고는 신이 나죠. 보물을 갖고 나오려는데 동전 구멍이 좁아지더니 나올 수 없는 상태가 되죠.

 

역시 욕심이 많은 사람들은 쉽게 고쳐지지 않는 모양입니다. 현씨도 도사가 동전 구멍을 늘려주자 동전 구멍 좀 본게 뭐 그리 대수냐면서 오히려 큰소리를 치죠. 이 때라도 뉘우쳤으면 좋았을텐데 말이죠. 다시 동전 구멍 속에 빠진 현씨는 그곳에서 그동안 당한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려와 떨면서 자신의 죄를 뉘우치게 되네요. 다행히도 동전 구멍 밖으로 나가서는 남의 것을 함부로 넘보지 않고 사람들에게 곡식을 나누어 주고 자신이 맡은 일을 성실히 하면서 살게 되었다네요.

 

동전 구멍이라는 소재를 통해서 이 곳에 들어가는 것이 사람의 끝없는 욕심과 욕망을 보여주고 그 구멍에서 나옴으로 인해서 욕심과 욕망에서 벗어난 걸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우리 조상들은 글을 통해서도 재물에 눈이 멀고 욕심만 부리는 사람을 그냥 꾸짖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행동을 돌아보고 뉘우칠 수 있는 기회를 준 것 같아 우리 조상들의 현명하고 지혜로운 삶의 모습들이 곳곳에 묻어나오는 것 같습니다. 아이들도 우리의 이런 이야기들을 통해 스스로가 남의 것을 탐하지 않고 성실하고 정직하게 사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배우지 않았을까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