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쓰자, 세상을 바꾸는 글을 쓰자 - 허균과 벗들의 홍길동전 이야기 토토 역사 속의 만남
정은숙 지음, 김선배 그림, 전국초등사회교과 모임 감수 / 토토북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창 시절 홍길동전이라고 하면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소설이라고 무작정 암기했던 기억이 가장 생생하다. 그리고 홍길동전 전체를 다 읽어봤나 싶을 정도로 큰 줄거리랑 사건 뿐 지금은 세세히 기억이 나지 않기도 한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홍길동전을 쓴 허균이라는 인물이 어떤 사람인지 그리고 홍길동전을 어떤 배경에서 쓰게 되었는지를 잘 알 수 있는 책이라 할 수 있을 것 같다.

 

조선시대 아무리 학식이 높아도 과거에 응시할 수 없었던 서자의 서러움을 통해 신분제도의 부당함을 알리고 무엇보다도 그들의 삶을 피부로 느꼈던 허균의 눈을 통해 어떻게 하면 그런 부당한 세상을 알리고 세상을 바꿀 수 있을지 고민하는 대목이 느껴진다. 심섭에게 공평한 세상이 올거라고 이야기했지만 결국 아무 것도 할 수 없었던 허균은 심섭에게 보여주기 위한 홍길동전을 쓴다. 홍길동전에는 홍길동이란 서자가 등장하는데 아마도 홍길동은 심섭에게 보여주고 싶은 세상을 담은 글이리라.

 

책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보고 있노라면 그 당시 시대에 억울하지만 굴복하고 순응할 수 밖에 없는 사람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주어진 처지를 비관하고 살거나 어쩔 수 없이 돈이나 더 나은 환경을 위해 세상에 굴복하고 마는 모습들이 그 시대 사람들의 당연한 모습이었을 것이다.

 

자신의 글을 통해 세상을 바꿔보고자 했던 허균은 그의 성품이 그러했기에 가능했던 것 같다. 신분이 낮은 사람과도 스스럼없이 어울리고 차별하지 않았던 그이기에 이런 작품을 탄생시킬 수 있지 않았을까 싶다. 만약 이런 성품을 지니지 않았다면 그 시대의 대다수의 양반들처럼 신분이 낮은 사람들의 처지를 이해하지 못했을 것이며 세상을 바꿔보려는 노력 역시도 꿈도 꾸지 않았을지 모른다. 홍길동전이 어떤 배경에서 나왔는지를 살펴볼 수 있고 허균이라는 사람이 어떤 성품을 지닌 사람인지를 알 수 있는 책이라 홍길동전을 읽고 난 후나 읽기 전에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