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요, 장영실 - 세종 대왕이 아낀 조선의 천재 과학자 저학년 첫 역사 인물(위인) 1
안선모 지음, 백명식 그림 / 풀빛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이방원에 관련된 드라마를 보더니 우리 아이가 세종대왕 아버지냐고 자꾸 묻습니다. 확실히 아직 우리 역사에 대한 흐름이나 이런건 전혀 잡지 못한 상태인데 그래도 인물들에 대해서는 궁금한 모양입니다. 이제 초등학교에 들어가니 우리 아이가 한국사에도 관심을 보이고 여러 인물들에도 관심을 많이 보입니다. 아마 우리 아이 뿐만 아니라 또래 아이들도 어릴 때 가장 자신있게 안다고 말할 수 있는 인물, 왕 중의 한 명이 바로 세종대왕이 아닌가 싶네요. 우리 아이도 왕 중에는 세종대왕에 제일 먼저 관심을 갖더라구요. 그 시대에 유명한 과학자가 바로 장영실이라고 이야기를 해줬는데 마침 또 장영실에 대한 드라마가 방영되더라구요. 그래도 저에게 짧게나마 이름이라도 들었다고 아는 척 하면서 이 책을 읽더라구요.

물론 책을 다 읽고 나서는 이제 좀 책에서 봤다고 저에게 막 설명을 하며 아는 척 하더라구요.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들을 위한 역사 위인책이라 그런지 내용도 그다지 어려워하지 않고 아이가 잘 봤습니다. 

장영실은 호기심 많고 새로운 걸 만들어 내는 일을 좋아했으며 비록 천한 신분이긴 했지만 책을 사랑하는 마음은 한결같았고 자신의 신분을 비관만하고 있지 않았습니다. 책을 읽어보면 장영실이라는 인물이 얼마나 성품이 한결같았는지 그의 인성적인 측면이 아이들에게 잘 전달도지 않았을까 싶어요. 천한 신분으로 벼슬에 올랐다고 주변 사람들의 안 좋은 시선도 많았을텐데 그런 것에도 흔들림없이 자신이 해야할 일을 묵묵히 해내는 모습이 오늘날에도 귀감이 될 것 같아요. 홀로 계신 어머니 곁을 떠나 생활했던 것, 그리고 주변의 시기들,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기 위한 고민 등 마음이 그다지 편하지 않았을텐데도 자신의 길을 가는 모습이 아이에게 감동을 주는 것 같아요.

백성을 그 누구보다 사랑했던 왕 세종. 세종대왕이 있었기에 오늘날의 장영실도 있을 수 있었다고 봅니다.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는 측우기, 해시계 등 이외에도 해와 달과 별의 움직임과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혼천의, 강물의 높이를 재기 위해 만든 수표, 혼천의를 좀 더 간단하게 만든 간의 등 이러한 발명품들이 나올 수 있었습니다. 만약 장영실이 세종이 아닌 다른 왕이 집권하던 시대에 살았다면 과연 이러한 일들이 벌어질 수 있었을까하는 생각도 들고, 세종이 탈 가마를 만들던 사람이 다치지만 않았다면 그 이후에 또 어떤 발명품들을 만들어내고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상상을 해보게 되네요. 정말 무엇보다도 그의 인품도 대단하지만 천재라는 말이 걸맞을 정도로 굉장한 발명품을 많이 만들어낸 위대한 과학자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