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깨비 우달은 왜 나누었을까? - 나눔 ㅣ 어린이를 위한 가치관 동화 14
김율희 글, 김병남 그림 / 개암나무 / 2015년 2월
평점 :
큰 홍수로 자신의 아들 또리를 잃은 우달은 포기하지 않고 아들을 찾아다니다가 우연히 어떤 사람의 집에 아들 또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답니다. 또리를 그냥 보내지 않고 회복되어서 보내야한다면서 정성껏 간호하는 모습이 정말 인간적이네요. 사실 또리를 돌보아 준 이 집은 수라는
아들을 잃어버린 수의 아버지네 집이었답니다. 밤이 되자 또리를 데리고 나온 우달은 또리가 몸이 아픈 자신보다도 수를 찾아주길 원하자 수를 찾으러
떠난답니다. 정말 이런 상황이 우리 인간 사회에서 벌어진다면 자기 아이를 놓아두고 이렇게 과감하게 떠날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결국 우달은 수를 찾아 가족들의 품으로 보냈지만 이미 죽은 뒤였답니다. 수의 가족들은 다시 마을에서 살아가기 위해 힘겹게 노력을 합니다.
그러면서도 사라져버린 또리를 걱정하는 모습을 보면서 우달은 이들을 위해 자신이 무언가를 해야겠다고 마음 먹습니다. 쌀을 지키는 창고지기인 우달은
몰래 쌀을 가져다가 수의 집에 가져다 놓습니다. 하지만 깜쪽같이 사라져버린 쌀 때문에 누군가가 훔쳐갔나 생각을 하죠. 다음날 다시 쌀을 가져다
놓는데 알고 보니 자신들의 처지도 좋지 않으면서 그 쌀을 또 마을 사람들과 나눈다는 이야기를 듣고 우달은 깜짝 놀랐답니다. 몰래 쌀을 나누다가
결국 죽음을 맞이하게 되는 우달... 인간의 훈훈하고 나누는 정에 감동을 받아 자신의 목숨까지도 바치는 모습이 감동적이더라구요. 또리 입장에서
보면 아빠가 옳은 일을 하고자 했지만 쌀을 훔친 부분들 때문에 죄를 달게 받는 모습이 무척 안타까웠을 것 같아요. 도깨비들이 인간 중에 착한
사람도 있다는 걸 알았듯이 실제로 우리도 우리 사회에 착한 사람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우달의 죽음으로 무척 안타깝게 이야기가 끝이 났지만 우리 아이도 슬펐는지 혼자 생각을 하더라구요. 꼭 자신이 많이 가지고 있어야지만 남들과
나눌 수 있는게 아니라는 걸 정말 잘 보여주네요. 작은 것을 나누는 베품의 정신과 아울러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는 모습 역시도 아이들에게 좋은
교훈을 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