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태어나면 살고 싶은 나라 - 유럽 11개국 유학생들이 직접 겪은 유럽의 정치·사회·복지 이야기
정치경영연구소 지음 / 홍익 / 2014년 4월
평점 :
품절


우리나라의 복지는 아직도 먼 나라 일인 것만 같이 느껴질 정도로 낯선 느낌이다. 그래서 다른 나라들의 복지를 비롯한 정치, 사회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어 이 책을 선택했다. 역시나 이 책을 다 읽고 난 소감은 그저 마냥 부러울 따름이다. 어떻게 이렇게 우리나라에서 불가능해 보이는 것들이 다른 나라에서는 현실로 나타나고 있는지 말이다.

 

복지는 이미 복지가 잘 되고 있는 나라들에 대한 책을 본 적이 있어서 그런지 예상했던 대로 스웨덴 같은 나라들이 잘 실현되고 있었다. 특히 스웨덴은 육아 휴직 기간까지 세금으로 월급을 받을 수 있어 경제적인 부담으로 인해 휴직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우리나라 실정에서 많은 부러움을 자아내는 부분이다. 급여는 물론 직장 안에서의 분위기는 감히 우리나라에서 상상하기 힘들 정도이다. 적어도 내 경우에는 말이다.

 

특히 이 책에서 나는 정치 부분을 다시 들여다보게 되었다. 정부에 대한 신뢰가 땅으로 떨어진 현 시점에서 나는 다른 나라 국민들은 정치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가 무척 궁금했다. 우리나라 정치에 신물이 난 건지는 몰라도 뭔가 다른 나라의 사례들을 통해 색다른 해결책을 찾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던 것 같다. 우리나라는 요즘 들어 더욱 더 소통의 부재가 여실히 느껴진다. 정부와 국민과의 소통도 제대로 되지 않고 있고, 더군다나 좌익이니 우익이니 편가르기에 여념이 없다. 그러니 당연히 합의가 제대로 이루어질리 만무하다. 그런데 네덜란드는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추진하지 않는다니 얼마나 합의나 소통을 중시하는지 알 수 있다. 우리나라 같으면 제대로 추진되는 일이 몇개나 될지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사실 요즘 시국도 그렇고 우리나라를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나라로 뽑을 국민들이 몇이나 될지 모르겠다. 하지만 우리도 이러한 유럽의 나라들의 모습 중 좋은 점들은 받아들이고 현실적으로 우리나라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방법을 같이 모색해나가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를 자랑스러워하고 다시 태어나고 싶은 나라로 단연 우리나라를 꼽는 사람들이 좀 더 늘어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