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계약론
장 자크 루소 지음, 이재형 옮김 / 문예출판사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교 다닐때 사회계약론에 대해 배우면서 인간들의 필요에 의해 국가에게 절대적인 권위를 주고 이에 복종하는 계약이 생겨났다고 배운 기억이 어렴풋이 난다. 우리들의 재산이나 생명을 보호받기 위해서는 계약이 불가피했던 것이다. 특히 국가는 어떻게 생겨났는지 그 기원을 살펴볼 때 등장하는 사회계약론은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책으로 접하니 재미있었다. 그렇다고 내용이 쉬웠다는 뜻은 아니나 흥미로운 내용들을 다루고 있는 책이란 생각에 읽으면서 더욱 더 끌렸던 것 같다. 책을 펼치기 전에는 어렵고 지루한 책일 것만 같아서 읽기를 미뤄두었었는데 막상 읽다보니 내가 예상했던 것보다 기대 이상으로 좋았다.

특히 학창 시절에는 홉스의 리바이어던에 대한 내용들을 배우면서 사회계약론을 배웠던 것 같은데 루소가 쓴 사회계약론이라는 책을 접하니 같은 사회계약론자들도 그 입장이 조금씩 차이가 있다는 것과 그 차이점이 무척 흥미롭다는 사실에서 이 책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던 것 같다. 아마도 루소는 성선설을 주장했다는 것과 홉스는 성악설을 주장했던 것의 차이에서도 비롯된 부분들도 없지 않아 있을 것 같다.

 

자연상태에서 인간들이 자유의지에 의해 사회 계약을 맺게 되었다는 것이 주된 내용인데, 그 집단의 사회 구성원들 대다수가 그 계약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이것은 무의미한 것이 되어버리고 만다는 것이다. 이 부분에서 오랫동안 생각할 거리들이 많았던 것 같다. 오늘날 우리 사회도 보면 우리들 대다수가 자유의지에 따라 원해서 계약을 맺었다고 치더라도 국가가 그만큼의 역할을 하고 있는가 생각해보면 국민들이 이 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생각을 갖게될 것만 같다. 이 책이 왜 오늘날 민주주의의 초석이 되고 있는 책인지 조금은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우리는 재산이나 생명, 자유 등을 보장받기 위하여 계약을 맺고 있지만 실제로 우리 사회에서 이런 것들이 얼마나 보장되고 있는가는 의문이 아닐 수 없다. 루소의 이야기처럼 자유의지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면 이 계약을 파기시켜야 하지 않나 싶은 생각이 들 정도로 의문이다. 그렇다고 사실 어디서부터 비롯되었는지 그 원인을 정확히 밝힐 수도 없는데 계약을 파기하기란 쉽지 않지만 책 속에 등장하는 혁명처럼 제대로 된 민주주의를 정착시키기 위해서 우리가 해야 할 일도 있음을 다시금 느끼게 되는 순간이다. 나라의 탄생에 대해서 알아볼 수 있는 다소 어렵지만 흥미로운 내용을 담고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