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의 이성을 마비시키는 그럴듯한 착각들
실뱅 들루베 지음, 문신원 옮김, 니콜라스 베디 그림 / 지식채널 / 2013년 1월
평점 :
품절
최근에 사람들의 심리를 파헤치는 실험을 다룬 책을 여럿 만나본 것 같다. 그리고 시중에 이런 책들이 눈에 띄게 많이 나와 있다. 내가 읽어본 이런 종류의 책들 중에서 이 책이 제일 쉽고 재미있게 쓰여졌으며 그렇다고 흥미에만 치우친 것이 아니라 본연의 의도에 충실한 것 같다.
우선 이 책이 가장 마음에 들었던 점은 내용을 명료하게 전달하고 있을 뿐만아니라 귀엽고 익살맞은 삽화를 통해 쉽게 내용에 접근해갈 수 있었다는 점이었다.
이미 다른 책들이나 매체를 통해 접해 본 실험들도 더러 있었지만 실험을 하는 목적과 인간의 심리 등이 탁월하게 잘 정리되어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인간의 심리를 실험을 통해 파헤치는 부분들도 흥미롭지만 특히 내가 관심이 많이 갔던 부분은 이타주의에 관련된 부분이었다. 인간은 과연 이타심을 타고 나는 것인지에 대한 것이다. 선한 행동을 할 때 우리는 그냥 그 자체를 위해 그 행동을 하는 것인지 아니면 칭찬이나 자기 만족 등의 이유에서 선한 행동을 하는 것인지에 대한 논쟁 거리가 들어있다. 이러한 논쟁은 이미 들어본 적이 있지만 이 책에서 한 가지 더욱 흥미로웠던 결론은 선한 행동은 여유가 있을 때에 가능하다는 것이었다. 처음엔 과연 그럴까 이런 생각이 앞섰다. 선한 행동을 늘상 하는 사람들은 그것이 몸에 베어 있거나 그 자체를 추구하기 때문에 할 거란 생각을 했었는데 실험을 통해 여유가 있을 때 더욱 더 선한 행동을 하는 것을 보고 그것이 중요할 수도 있겠구나하는 생각을 했다. 그렇다면 나의 행동은 어떤가를 돌아보게 되었다. 생각해보니 가끔은 선한 행동을 해야만 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 지나친 경우도 종종 있었던 경험이 떠올랐다. 그러고보면 여유가 있을 때 다른 사람을 돕는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가 가고도 남는다.
삽화를 통해 소개하고 있는 실험들도 흥미로웠지만 책 마지막 부분마다 주제와 관련되어 나와있는 영화 소개 등도 흥미로웠다. 관련된 영화나 책들을 더 찾아서 보고 싶다는 생각이 많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