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미안
헤르만 헤세 지음, 이상희 옮김 / 책만드는집 / 201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학창 시절 한 번은 펼쳐보았던 기억이 나는 책이지만 그때는 별다른 감흥없이 그냥 덮어버렸던 것 같다. 그런데 다시금 어른이 되어 이 책을 읽어보니 학창 시절 그 때 꼭 한 번 읽어내려갔었어야 했는데 하는 후회가 밀려온다. 혹독한 사춘기를 겪은 것은 아니지만 십대 시절에 마음의 방황을 하지 않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싶을 정도로 마음의 변화를 섬세하게 잘 그려내고 있기에 비록 나는 그러지 않았음에도 공감이 가는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선과 악이라고 해야할까? 언제나 동전의 양면과도 같이 느껴진다. 싱클레어는 자신이 이 두 세계에 존재함을 일찍이 인식했다고 보는 편이 맞을 것 같다. 선함과 온화한 세계에 속해 있으면서도 악함을 향해 발을 딛는 그의 모습이 마치 요즘에 방황하는 청소년들을 보는 것만 같아서 보는 내내 마음이 편치 않았던 것 같다. 이런 마음으로 갑자기 악한 세계로 발을 내딛게 되는걸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정말 시작은 너무나도 맹랑하고 뜬금없는 거짓말로 시작해서 자신을 스스로 거짓말 때문에 악의 세계에 가두게 되고 친구로부터 협박에 시달리게 되는 모습이 정말 터무니 없기만 하다. 실제로도 많은 청소년들이 이렇게 사소한 (어쩌면 그들에겐 결코 사소하지 않은...) 일들로 방황의 길을 걷는지도 모를 일이란 생각이 든다.

 

데미안... 그는 이 또래의 아이들이 만나기 쉽지 않은 인생의 멘토 같은 존재이기도 하다. 이런 친구를 통해 다행스럽게도 싱클레어는 다시 어둠의 세계에서 벗어나올 수 있었지만 과연 이런 친구를 인생에서 만날 수는 있을지... 그리고 만난다고 해도 자신의 인생을 한층 더 성장시킬 수 있는 계기로 삼게 되는 사람이 많이 있을지는 모르겠다. 아무튼 싱클레어는 데미안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충분히 다시금 들여다보는 계기로 삼지 않았나싶다.

오늘날의 청소년들에게도 이 두 세계에서 흔들리지 않고 자신의 내면을 진정 들여다볼 수 있는 눈을 길렀으면 좋겠다. 싱클레어의 아픈 성장기를 통해 데미안과 같은 친구를 통해 인생이 한층 성숙해감을 느낄 수 있었던 그런 책인 것 같다. 성장통을 겪고 있는 아이들에게 꼭 권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