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언 直言 - 죽은 철학자들의 살아 있는 쓴소리
윌리엄 B. 어빈 지음, 박여진 옮김 / 토네이도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당신은 결코 타협할 수 없는 인생의 원칙을 가지고 있는가? 나에게 묻는다. 타협할 수 없는 원칙이 무너질 때 그 때의 기분을 생각해 보기도 하고, 나 스스로가 그 원칙을 무너트리지는 않았나 돌아보게 된다.

소로의 <월든>을 읽다가 다 못읽고 내려놓았던 기억이 난다. 소로는 자신의 신념을 지켜낸 인물이다. 시민불복종을 이야기할 때도 헨리 데이비드 소로를 이야기하는데, 자연과 벗삼아 욕심없이 산 삶도 그렇지만 자신이 낸 세금이 불평등을 조장하는데 쓰인다고 생각했기에 세금을 내지 않은 모습을 봐도 자기의 신념을 강하게 지켜내려고 노력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는 점점 더 많은 욕망에 사로잡혀 하루 하루를 살아가고 있다. 그런 사회 속에서 살다보니 나의 신념을 지키며 산다는 것은 극히 어렵다는 것을 실감하며 살고 있다. 이런 우리를 그나마 편안하고 사색하며 살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사람들이 바로 과거의 철학자들인 것 같다. 물질적 욕망에 이끌려 살지 말고 쾌락을 조금 놓아버리면 더 큰 쾌락이 찾아 올 것이다. 매사 평정심을 가지고 임하면 마음에 평온도 찾을 수 있다. 타인의 시선에 지나치게 신경쓰기 때문에 진정한 나를 잃어버리고 꼭두각시 같은 삶을 사는 것일 수도 있다.

 

이 책은 이런 자신의 모습들, 현대 사회에서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며 사는 부분들 중 대부분들을 놓을 수 있음을 이야기하는 듯 하다. 바로 철학자들의 사상과 생각을 통해서 그들의 지혜를 빌어 우리의 고민을 덜어내고자 한다.

소로처럼 모든 것을 벗어버리고 시골로 들어가 한 몇 년 살다나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도시에서는 아무래도 자유롭게 사색하고 나를 돌아보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 같다. 그러기에 더더욱 철학자들의 지혜를 가슴에 새기고 하루 하루를 살아나가야 할 것 같다. 책을 읽는 내내 어떻게 하면 좀 더 나만의 신념을 지키면서 좀 더 나은 인생을 살 수 있을 것인지 끊임없이 나 자신에게 묻는 시간이 되었던 것 같다.

 

책 앞부분에는 스토아 철학을 이야기하고 있어 철학을 지루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거부감부터 들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 책은 철학 자체를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고 지루하지 않다는 것을 알아두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