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만나야 할 미래 - 스웨덴의 한가운데서 우리가 꿈꾸는 대한민국을 만나다
최연혁 지음 / 쌤앤파커스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우리는 어떤 미래를 만나고 싶을까? 이 책은 만나고 싶은 미래가 아니라 우리가 만나야 할 미래의 모습을 제시하고 있다. 복지국가하면 떠오르는 나라 중의 하나가 바로 스웨덴이다. 일단 스웨덴의 복지를 이야기하기 전에 우리나라 정책과 관련해서 생각해보고 싶다.

 

일부에서는 평등이나 분배와 같은 개념들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 사회가 좀 더 나은 복지국가로 가야한다고 주장한다. 조금 더 부자들이 가진 것들을 그렇지 못한 사람들과 함께 나누고 모두가 함께 잘 살려고 하는 인식이 필요할 것 같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세금을 도대체 얼마나 내야하냐면서 지금 우리 현실에서 복지에 신경을 쓰는 것은 맞지 않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복지란 그만큼 그 나라 국민 개개인을 존중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국민의 행복이 최우선이라는 스웨덴 사람들을 보며 한없이 그들이 부러웠다. 우리나라에서 국민들의 행복에 과연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지 묻고 싶다. 정치인들도 자신들이 당선되기 위해서 공약으로 내세우기도 하지만 사실 그들은 우리들의 행복에 관심이 있기는 한 걸까? 국민들의 행복을 중시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이익만 추구하는 이들이란 이미지를 쉽게 떨쳐버릴 수가 없다.

 

복지국가하면 사람들이 가장 많이 우려하는 것이 세금을 더 내야한다는 부담이다. 스웨덴처럼 복지가 잘 되어 있는 나라 사람들은 내가 낸 세금이 결국 우리에게 다시 혜택으로 돌아온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우리나라 국민들은 세금은 그냥 빠져나가는 아까운 돈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혜택을 실감하지 못하는데에서 비롯된 것 같다. 세금을 안 내는 부자들의 수가 적지 않음을 감안해볼 때 세금을 더 낼 준비가 되어 있는 스웨덴 국민들을 보며 아직 우리가 갈 길이 멀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제 우리도 최근엔 행복이라는 것에 관심을 두는 사람들이 많이 생겼다. 이렇게 인생을 사는 것도 어찌보면 다 행복하기 위함이 아닌가... 행복한 삶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나눔에 대해 관심을 갖는 사람들도 많이 늘은 것 같다. 어릴 때부터 나눔에 대해 자연스럽게 교육하고, 나누는 것이 함께 행복하기 위한 길임을 아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 책을 읽다보니 어쩜 그렇게 부러운 것들 투성이인지... 특히 교육 방식이나 육아에 관련된 것들이 제일 부러웠다.

우리 사회에서도 복지는 아직 이르다고 반대하는 사람들의 수도 적지 않으나 스웨덴도 여러 번의 실패를 거듭하면서 복지국가로 자리매김한 것을 알 수 있다. 우리가 추구해야 할 가치가 나눔과 정의, 평등이라면 서서히 우리도 인식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라 여겨진다. 그 해답을 스웨덴에서 찾아볼 수 있는 책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