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머사회 - 솔깃해서 위태로운 소문의 심리학
니콜라스 디폰조 지음, 곽윤정 옮김 / 흐름출판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서 그 어느 때보다도 더 많은 루머가 생성되고 확산되고 재생산되는 것 같다. 루머 사회라는 말이 우리 사회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 같아 와닿는다. 아무도 루머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글귀도 눈에 확 들어온다.

 

연예인들을 보면 정말 루머 때문에 생사가 갈리기도 하고 또 그 루머를 받아들이는 우리 대중들도 쉽게 루머라는 사실을 믿지 않는다. 뭔가 있을 거라는 의심을 떨쳐버리기가 쉽지 않은 것 같다. 그 한 예로 타블로 학력사건이 떠오르는데 근거가 있어도 믿지 않는 사람들에게 루머란 뒤에서 이야기하기 좋은 구실을 마련해줄 뿐이다. 하지만 문제는 이런 일이 이제는 연예인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루머란 인간은 사회적 존재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보고 있다. 일단 루머와 관련하여 소문들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우리가 소문을 퍼뜨리는 이유는 무엇인지 그리고 사람들은 왜 이런 소문을 믿게 되는지에 대한 답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이 나에게 더 흥미로운 이유는 루머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들과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도 있지만 어느 누구도 루머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면 그 해결책이 있어야 할터인데 그 해결책 역시도 나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바로 그것은 소문을 통제하는 방법이다. 소문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무력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던 것 같다.

 

연예인과 관련된 소문들을 들으면 항상 사람들이 많이 하는 말이 전혀 근거 없는 이야기는 아닐 거라는 말이다. 과장 되었을 수는 있지만 비슷한 일이 있으니 그런 소문도 돌게 마련이라는 말이다. 그런데 이 책에서 소문이 진실일 확률은 매우 낮은 경우도 많다고 하니 나 역시 소문을 듣고 그대로 믿어버리는 어리석음을 범하지 않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진실이 아닌 것을 진실로 둔갑하게 만들어버리는 것 그리고 그 소문을 믿는 나... 이 책의 저자가 이야기하듯이 이제부터는 좋은 소문으로 방향을 잡아나갔으면 한다. 더욱 더 진실을 추구하고자 노력해야 할 듯하다.

영화나 실제 연예인, 정치인들의 이야기를 실례로 들어 소문에 대해 접근하고 있기에 무척 흥미로운 책이며 동시에 소문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돋보이는 책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도 소문으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기에 한 번 읽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