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익스피어, 정의를 말하다 - 셰익스피어 희곡에서 배우는 정의
켄지 요시노 지음, 김수림 옮김 / 지식의날개(방송대출판문화원)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셰익스피어에 관심은 많은데 사실 그의 작품이나 공연을 본 기억은 몇 번 안 된다. 더군다나 최근에 우리 사회에서 끊임없이 회자되고 있는 정의에 대한 이야기가 들어 있다고 해서 셰익스피어와 정의는 어떤 연관이 있는지, 그리고 그의 작품 속에서 정의를 어떻게 풀어내고 있을지가 무척 궁금했던 책이다.

 

책을 읽는 동안 셰익스피어의 작품 세계에 흠뻑 빠져들 수 있었다. 비록 정의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기는 하지만 지루할 틈이 없다. 실제로 마치 공연을 관람하는 듯 무대가 연상되며 그 무대위에서 배우들이 자신이 맡은 역할을 하는 장면이 머리 속에 연상된다. 배우들이 내뱉는 말들이 정말 실감이 날 정도이다. 정의에 대한 이야기는 일단 제쳐두고라도 그의 작품에 대해 더욱 많은 관심이 생겼다. 그의 작품들을 하나 하나 다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도 이 책을 통해서 들게 된 것 같다. 뜻밖의 수확이라고나 할까.

 

전혀 연관이 없었던 것처럼 보였던 그의 작품들과 정의의 관계, 처음엔 그저 정의에만 초점을 맞춰 그의 작품안에서 정의가 어떻게 표현되고 있나만 들여다볼 생각으로 읽게 된 책인데 예상치못한 매력에 빠져버린 느낌이다. 그래서 그런지 다소 딱딱하고 어려울 것이라 예상했던 것과는 다르게 흥미를 느끼며 금새 읽을 수 있었던 것 같다.

 

정의란 도대체 어떤 걸까? 그의 작품 안에서는 자비는 자비로 갚아주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엔 똑같이 보복하는 장면들이 많이 나온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식의 보복 장면은 역사에서도 종종 살펴볼 수 있다. 이럴 때 정의가 살아있었다면 과연 그런 피비린내나는 살육이 존재했을까? 법치를 통해 이런 것을 바로 잡을 수 있다고 보는 것 같은데, 과연 그런지 한편으로는 의심스럽기도 하다. 물론 이 책의 배경이 되는 시대에는 법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을텐데 오늘날 우리 사회를 보면 법치주의이지만 그 속에 정의가 살아숨쉬지 못하고 있음을 느낄 때가 많다. 과거 시대에서 법으로 정의를 바로잡는 것이 중요했다면 현대 사회에서는 정의를 위한 새로운 것이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그것이 무엇이 되었든지간에 그것으로 정의가 지켜질 수 있었으면 한다.

 

아무튼 공정한 사회와 정의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수 있었던 동시에 셰익스피어의 작품에 한발 더 다가간 듯하여 그의 작품들을 얼른 더 만나봐야겠다는 생각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