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목을 친 남자 - 프랑스혁명의 두 얼굴, 사형집행인의 고백
아다치 마사카쓰 지음, 최재혁 옮김 / 한권의책 / 2012년 6월
평점 :
품절


프랑스 혁명의 이면에 가리워진 사형 집행인의 실화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무척 흥미로웠는데 개인적으로는 사형 집행인으로서의 삶이 얼마나 힘들고 고통스러웠는지에 대한 생각도 물론 많이 해볼 수 있었지만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사형제도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었던 책이다. 예전에 공지영씨의 소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을 읽으면서 사형 집행인에 대해 잠시 생각해 볼 기회가 있었고 그 당시 사형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고 나름 나의 입장을 조금은 정리해 볼 수 있었던 것 같다. 그런데 이 책은 그런 문제에 대해서 좀 더 현실적으로 와닿은 책이다. 생각해보면 사형 집행인의 실화를 통해 그 당시의 사형 집행 순간을 생생히 묘사해 놓았기 때문에 그것이 얼마나 사형 집행인으로서 힘든 일을 감내해야 했었는지가 더 전해지기 때문인 것 같다.

 

프랑스 혁명을 둘러싸고 대대로 사형 집행인을 해오던 상송가의 샤를 앙리 상송... 당시의 사형 집행인이라는 신분이 사람들로부터 어떤 취급을 받았는지, 그리고 왜 대대로 이 일을 할 수 밖에 없었는지가 잘 나와있다. 사랑 때문에 이 일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고 결국엔 대대로 이어나갈 수 밖에 없는 현실...

 

사형 집행인을 하고 있지만 누구보다도 정의를 생각하고 사형받는 사람들의 고통을 줄여주기 위해 애썼다는 점과 당시에 루이16세를 비롯한 일부의 사람들이 사형수의 인권에 대해 생각했다는 점은 시대를 앞서 놀랍기만 하다. 한 인간의 고통스럽고 고뇌하는 삶의 모습을 통해 사형 집행인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논란이 계속 되고 있는 사형제도의 존폐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해보게 되었다.

사실 나 개인적으로는 사형제도는 인권을 생각하면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그렇다고 사형제도가 아예 폐지되어 버린다면 사회가 더 혼란스러워질 것이 우려된다. 그래서 지금 현재처럼 사형제도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사형은 집행되지 않는 '사실상 사형제도 폐지 국가'가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은 아니다. 이 책을 다 읽고 나서 보니 나 또한 이것이 얼마나 비겁한 생각인지 알게 되었고, 사형제도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입장에서 범죄의 예방 효과가 있다고 생각했던 것이 사실은 아님에 대해 진진하게 생각해보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