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에게 인생을 배우다
전도근 지음 / 북스타(Bookstar)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약용은 정말이지 품성적인 측면도 그렇지만 다방면의 방대한 저서로 인해 제가 항상 놀랍다고 생각하는 분입니다. 더군다나 그의 이런 방대한 저서가 유배지에서 쓰여진 것이기 때문에 그 점이 더욱 놀랍고 존경스럽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은 정약용이라는 인물 전반에 대해 다 다루지 않았나 싶은 생각이 들 정도네요. 사실 정조의 총애를 받고 수원 화성을 짓는데 거중기를 이용했다는 것은 교과서에도 실려있었던 것 같은데 그런 그의 창의성을 이 책을 통해 상세히 엿볼 수 있었던 것 같네요.

백성을 그 누구보다 사랑하고 항상 올바른 길을 걸어온 그를 보면서 진정한 리더십이란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도 다시금 생각해보게 되네요. 시대를 막론하고 리더십이나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가짐 등은 다 같은가 봅니다. 그런데 오늘날 정치인들은 도대체 리더십이 뭐라고 생각하는지도 궁금하고 국민들보다 자신들의 안위만 중시하는 모습에 정말 한숨이 절로 나옵니다. 정약용을 비롯한 우리 선조들 중에는 세상이 어지러워도 자신의 안위만 우선시하지 않고 항상 정직하고 바른 길을 갔던 사람들도 많이 있었다는 생각에 조금은 이런 현실이 부끄럽기도 하고 답답하기도 하고, 그나마 옛 사람들을 보며 위안을 삼게 되네요.

특히 정약용의 목민심서는 쉽게 쓰여진 책을 읽어봤는데 목민관이 지녀야 할 자세가 상세히 나와 있던 것을 보고 오늘날에도 이런 것들이 관리자들 즉 지도자들에게 꼭 필요하단 생각을 했었답니다. 또한 정약용의 자녀 교육도 빼놓을 수 없는 것 같은데 재산이나 이런 것이 아닌 자녀들에게 정직과 성실을 물려주고자 했던 것도 정말 대단한 것 같습니다. 유배지에 있으면서도 많은 편지들로 자녀와 소통하고 자녀 교육을 했던 점도 눈여겨 볼 만하다.

 

말만하고 실천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은 세상에서 그 무엇보다도 실용적인 것들을 중시하고 실천해야 함을 강조한 점은 오늘날에 우리들에게 많은 것들을 시사해주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겉으로만 드러나는 것을 중시할 것이 아니라 더욱 실용적인 것들을 고려하다 보니 그런 그의 생각에서 유형거나 거중기와 같은 것들도 완성될 수 있었던 것 같네요.

정조의 죽음 이후에 인생의 시련을 겪었을만도 한데 좌절하거나 포기하지 않고 한결같은 자세로 자신의 삶을 충실하게 살아온 점은 많은 사람들에게도 귀감이 될 것 같습니다. 조금만 힘들어도 부정적이 되어 버리는 나 자신의 삶과 많은 비교를 하게 되네요. 정말 인생 공부가 된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