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너 매드 픽션 클럽
헤르만 코흐 지음, 강명순 옮김 / 은행나무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저녁 식사 시간을 둘러싸고 모든 사건들이 펼쳐진다. 아주 고급스런 레스토랑에서의 형 내외와의 약속... 애피타이저, 메인 요리, 디저트, 그리고 팁까지... 이 안에서 모든 사건들이 다 펼쳐진다는 것이 흥미롭다.

 

사실 처음 책을 읽기 시작했을때는 굉장한 일이 벌어질 것 같은 기대감과 초조함으로 읽었는데 그냥 평범한 주인공과 수상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주인공의 형의 일상적인 대화들이 대부분이여서 생각보다 사건이 빨리 일어나지 않는구나 하면서 읽었다. 도대체 사건은 언제부터 시작인거야 하면서 읽었는데 주인공 나의 아들과 형의 아들이 함께 여자 노숙자에게 해를 가한 동영상을 찍은 것부터 빠르게 사건이 전개되고 겉잡을 수 없이 책이 술술 읽혔다.

 

책의 소재와는 어울릴 것 같지 않았던 제목... 디너... 하지만 작가는 누구보다 제목과 소재를 잘 어우러지게 풀어낸 것 같다. 놀랍다. 처음으로 접하는 네덜란드의 작가... 칼럼니스트여서 그런지 사회 문제를 소설 속에 잘 풀어낸 점이 돋보인다.

자신의 아들이 누군가를 죽였다면? 그리고 그것을 우리 가족만 알고 있다면?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할까? 정의와 가족의 사랑이 상충한다면 어떤 것을 택해야할까? 제3자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정의를 택해야 한다고 말할 것이다. 주인공은 모든 사실을 알리겠다는 형을 다치게해서 결국 이 사실을 은폐하는데 성공한다. 이기적이고 권력에 욕심이 있는 형은 오히려 자신의 아들을 위해 사실대로 밝히겠다고 하지만 형보다는 더 착하게 묘사되었던 주인공은 결국 그 반대의 선택을 하게 되는 점도 흥미롭다. 인간의 이중적인 모습을 보여준다고나 할까?

 

처음 사건을 접하게 되었을때는 왠지모를 분노와 흥분에 화가 치밀었다. 왜냐하면 요즘 우리 사회에서도 이유없이 타인에게 해를 가하는 청소년들의 소식을 종종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청소년들은 그에 따른 처벌을 받아야 마땅하다고 생각하지만 그들의 부모 입장에서는 결국 그들을 감싸안기를 바랄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그래도 분명한 것은 그들 부모도 정의와 자녀 사이에서 갈등은 할 것이라는 점이다.

책에서 읽었던 부분 중에 "우리는 그 애들한테서 어린 시절을 빼앗을 권리가 없다는 거. 우리 어른들 규범에 범죄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아이들한테 평생을 속죄하면서 살라고 강요할 권리는 없다는 말이에요."가 자꾸만 떠오른다. 나에게 또 하나의 딜레마를 안겨주는 것 같아 깊게 고민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