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를 바꾼다는 것 - 트랜스젠더 모델 먼로 버그도프의 목소리
먼로 버그도프 지음, 송섬별 옮김 / 북하우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젠더를 바꾼다는 것에 아주 큰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어느 순간 우리의 사회에서는 이성애자를 당연시 여기고 그렇지 않은 것을 비정상적인 것으로 여기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어릴 때 읽었던 책에서 젠더라는 것은 태어날 때 결정되기는 하지만 그 정체성은 사람에 따라 제대로 형성이 안 되어 혼란을 겪는 사람들도 더러 있다는 글을 읽은 적이 있었습니다. 그 이후로는 트랜스젠더나 동성애자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을 때 조심스럽더라고요. 그리고 무조건 이들을 비난하는 목소리에도 고민이 많아졌고요.

 

책을 읽으면서 비자발적 정체성에 대해 많이 생각해 봤습니다. 우리는 누구나 태어날 때 비자발적 정체성을 갖게 된다는 사실에 말이죠. 그냥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이 태어날 때 주어진 성별을 당연시 여기며 생활하지만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나가는 과정에서 그것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것이죠.

 

사실 이런 과정을 경험하게 되는 많은 사람들은 무척이나 혼란스러워하고 자신의 본 모습을 잃어버릴까봐 두려워할꺼라 생각했는데 전혀 저의 예상과는 다르더라고요. 오히려 그들은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는 사실이 제가 편견을 갖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퀴어 축제가 해마다 열리는 것 같은데 그럴 때마다 한쪽에서는 반대를 하는 시위가 벌어지기도 하고 언론에서도 이런 갈등을 다루기도 합니다. 제가 놀랐던 것은 퀴어 축제가 시작된 지 얼마 안 되었을거라고 생각했는데 벌써 꽤 된 것을 보면서 이들이 자신들의 권리 또는 자신들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여정을 보여주고 있다는 생각이 드니 마음이 복잡해지더라고요. 


이번에 이 책을 접하면서 젠더를 바꾼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전혀 상상도 할 수 없었던 많은 것들을 내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면서도 이들을 바라보는 우리 시선에 대해 어떤 시각을 가져야하는지 복잡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사실 어떤 한가지의 시선으로 무조건 이들을 옳다 그르다의 문제로 볼 수 없다는 생각을 더 갖게 된 것 같습니다. 아무튼 우리와 이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었던 것 같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