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화에게 말을 걸다
김교빈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창 시절 미술에 소질은 별로 없었지만 그래도 미술 시간을 좋아했고 특히 여러 미술 작품들을 접할 수 있는 시간들을 유독 좋아했었던 것 같습니다. 직접 활동하는 미술 시간들 보다도 미술 선생님께서 들려주시는 화가와 작품 이야기가 더욱 더 기억에 남고 많이 기다려지는 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명화에게 말을 걸다라는 제목과 고흐의 그림이 그려진 책의 표지를 보니 꼭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더라고요. 이 책은 저자의 삶의 이야기들을 명화와 함께 들려주는 명화 에세이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미술에 대한 해박한 지식들이 전혀 없어도 편안하게 읽을 수 있는 책이었던 것 같습니다.


인간에게 일어날 수 있는 일들과 우리가 겪을 수 있는 여러가지 감정들에 대해 떠올려봅니다. 저자가 겪은 상실의 아픔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특히나 배우자에 대한 상실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 같고 짐작만 해보더라도 얼마나 힘들지 조금이나마 느껴지는 것 같아 마음이 아립니다.


고통이라는 것을 우리는 누구나 피하고 싶어합니다. 고통을 즐기거나 좋아하는 사람은 아마도 없을 듯 한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통이 우리를 피해갈 수 없다면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법에 대해서도 생각해 봐야 할 듯 합니다. 프리다 칼로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내가 힘든 것이 최악이라는 생각을 하는 것은 삼가야 겠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습니다. 우리는 주위에 나보다 힘든 사람이 많이 있다는 것을 늘 잊고 살며 내가 보고 싶은 것들만 보고 사는 것이 아닌가 싶을 때가 있습니다. 프리다의 이야기를 들으며 자화상을 비롯한 그림들을 보며 어떤 것이 고통이고 이에서 벗어날 수는 있는지 여러가지 생각들과 함께 이러한 고통이 지나가고 나면 어떤 것들이 찾아오는지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책을 통해 우리의 삶에 대해서도 희노애락과 같은 감정들과 함께 생각을 해보며 더 나아가서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봅니다. 저자의 삶의 이야기들을 들으며 공감도 되고 위로도 해주고 싶은 마음도 문득 들었고 저 역시 저자의 이야기를 통해 공감하고 위로 받는 부분들도 있었던 것 같습니다. 고통의 시간이 지나가면 아름다움이 남는다는 말을 곰곰이 새기며 다가올 아름다움을 기대하고 싶어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