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노블로 읽는 서양 과학 이야기 쉽고 재미있는 인문학 2
인동교 지음 / 시간과공간사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래픽 노블로 되어 있는 책들을 보다 보니까 눈에 쏙쏙 잘 들어오는 점도 있고 요즘 아이들이 웹툰에 많이 익숙해져 있어서 그런지 그림을 더 좋아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픽 노블이 그냥 일반 그림들과는 또 다른 매력이 있어서 그런지 더욱 더 간결하게 그림이 눈에 들어오는 듯 합니다. 

 

학창 시절 과학을 배우면서 제대로 그 흐름을 이어가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학업을 핑계로 시험 대비용으로만 공부를 해서 그런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배웠던 것들을 잊어버리고 단편적으로 조금씩 기억하게 되더라고요.

 

그래서 그런지 이 책을 보면서 전체적인 흐름을 잡아갈 수 있어서 너무나도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고대, 중세, 근대 등 시대적 흐름으로 사상가들과 함께 그 내용들을 배울 수 있어서 더할 나위 없이 좋았습니다.

 

고대 과학의 문을 연 아리스토텔레스라고 하니 서양 철학에서 접하던 것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여서 좋았습니다. 보통 아리스토텔레스는 과학에서도 언급된다는 것은 알지만 철학자로서의 아리스토텔레스에만 제가 관심이 많이 있었나봅니다. 

 

아르키메데스의 이야기도 간결하면서도 흥미롭게 눈에 쏙 들어옵니다. 무엇보다도 그래픽 노블이다보니 그림이 눈에 쏙 들어오면서 글과 함께 내용들이 이해가 잘 되는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도 흥미로웠던 것은 과학 이야기이지만 세계사처럼 흐름을 읽을 수 있었다는 점입니다. 중세의 과학이 서양에서 이슬람으로 넘어온 부분들이 특히나 세계사를 접하는 것처럼 흥미로웠습니다.

 

과학은 정말 놀라운 부분들이 너무나도 많았습니다. 무엇보다도 막대기 두개로 지구의 둘레를 알아낼 수 있었다는 것이 너무나도 놀랍더라고요. 지금 알아냈다고 하면 이해하겠지만 그 당시에 그럿을 생각해내다니요. 

 

아무튼 학창 시절을 다 보내고 난 지금 보니까 예전에 배웠던 내용들도 단편적으로 떠오르고 책을 보면서 어떻게 연결이 되는지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그래픽 노블 덕분에 지루하지 않으면서 즐겁게 읽을 수 있어서 긴 글로 되어 있는 책을 읽을 때보다도 이해도 잘가고 즐거웠네요. 

 

어른들이 봐도 즐거울 것 같지만 아이들이라면 말할 것도 없을 것 같습니다. 과학을 다소 어려워하는 아이들도 많은데 아이들과 함께 보면 좋을 듯 싶어서 우리 아이에게도 이 책을 권해줘야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